미국의 4월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유가 인상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예상치를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인플레 압력이 소폭 둔화되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추가 금리인상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3일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3월보다 0.2% 오르는 데 그쳤다. 이는 시장 기대치(0.3%)를 하회한 수준이다. 기준금리 결정에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는 근원 물가상승률은 0.1% 상승에 그쳤다. 근원 물가는 가격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물가를 말한다. 미국의 근원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11월 0.1% 상승한 이후 올해 1월(0.3%)까지 오름세를 보이다 4월 들어 다시 주춤하는 모양새다. 미국의 소비나 임금 등 가계·기업의 실질적인 경제지표가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점도 부담이다.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2.3%로 시장예상치(2.0%)를 상회하기는 했지만 개인소비나 주택투자는 증가세가 크게 위축됐다.

개인소비는 1분기 1.1%로 전 분기(4.0%)보다 크게 떨어졌다.

이에 따라, 미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빨리 내놓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지난 2일 미 연준은 물가 상승에 대한 자신감을 보였지만 시장의 움직임은 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지면서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신흥국을 중심으로 달러 유출이 심각해지고 있다. 국내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이후 한 달 동안 외국인 주식자금이 20억4000만 달러 이탈하는 등 외자유출이 현실화 될 조짐이다.

실제로 한·미간 금리 역전차가 100bp(1%포인트)까지 벌어졌던 지난 2006년 5월부터 7월까지 3개월 동안 증권·채권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순유출액은 8조2000억원에 달했다. 월평균 2조7000억원이 빠져나간 것이다.

임혜윤 대신증권 연구원은 "소비자물가 인상 등과 같은 헤드라인 지표보다 물가 상승 요인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패턴이 반복되면 그 속도가 점진적이라고 해도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안심하긴 이르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바뀐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박승호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관은 "한·미간 금리역전 확대가 글로벌 통상마찰 등과 맞물려 금융시장 변동성을 증가시킬 가능성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또 시장금리가 오를 경우, 가계 소비와 기업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에 대한 선제적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은애기자 eunae@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