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등 평화분위기 영향
북한 지정학적 리스크는 급감
가계부채 누증이 가장 큰요인

국내 금융시스템을 뒤 흔들 수 있는 리스크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이 새로 급부상 했다.

반면 남북 정상회담 등으로 그동안 한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던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는 대폭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13일 내놓은 '2018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금융 전문가 10명 중 7명이 국내 금융시스템 위기 요인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가중'(76%)을 선택했다.

이어 가계부채 누증(74%), 미 연준의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60%), 부동산시장 불확실성(50%) 등이 시장을 위협할 수 있는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반면 최근 남북 평화 분위기 조성에 따라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는 위기 요인에서 사라졌다. 지난해 11월 한은의 리스크 조사에서 82%를 차지했던 북한 관련 리스크는 절반 이하인 38%로 뚝 떨어졌다.

중요도 순으로는 가계부채 누증(26%)이 가장 큰 리스크 요인으로 꼽혔다. 이어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가중(17%), 미 연준의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15%) 등의 순이었다.

또한 향후 1년 이내에는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장 위협적인 요인으로 꼽혔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56%)은 단기간 내에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1년 이내에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응답은 9%에 그쳤다. 다만 향후 1~3년에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은 38%로 발생 가능성이 낮다는 응답(20%)을 상회했다.

조은애기자 eunae@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