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경영연, 보고서서 제기
사회적 책임광물만 거래 관리
블록체인 공급망관리 선점 필요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이 '책임광물' 개념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국제사회는 중부 아프리카 분쟁을 근절하기 위해 현지 군벌이 생산하는 광물을 '분쟁광물'로 규정하고 유통을 차단하고 있다.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2016년 11월 도입된 '책임광물'이란 '분쟁의 자금줄이 되지 않고 인권과 환경을 존중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방식으로 채굴된 광물'을 뜻한다. 국제사회가 책임광물 가이드라인을 지키지 못하는 기업에 각종 불이익을 강화하는 추세여서 국내 기업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10일 포스코경영연구원(POSRI)의 '책임광물 규제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들이 책임광물 사용과 관련해 분쟁·인권 침해와 무관한 광물을 사용했음을 증명하는 자체 인증 작업을 철저히 준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중국과 글렌코어 등 소수 기업이 유통을 독점한 코발트의 경우도 책임광물 규제로 원료 수급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보인다. POSRI는 국제앰네스티가 2016년과 2017년에 잇달아 보고서를 내고 관련 업계에 코발트 생산과정에 대한 투명한 정보 공개와 조사를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삼성SDI, LG화학, 애플, 화웨이, 화유코발트 등이 코발트 공급망 문제에 함께 대응하기 위해 2016년 발족한 '책임 있는 코발트 이니셔티브(RCI)'에 참여하고 있다. POSRI는 국제사회가 최근 규제의 격을 한 단계 높이면서 책임광물 대상 광물 종류도 코발트를 포함, 알루미늄, 구리, 다이아몬드 등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내다봤다. POSRI 관계자는 "무기자금·인권유린·환경파괴 등과 관련한 광물의 거래를 차단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한 광물만 거래하도록 공급사슬을 관리하는 '공급사슬 경영'이 기업의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고 지적했다. 이미 미국·EU 등 책임광물 관련 규제를 발효 중인 지역의 기업들과 해외 부품 공급사들은 책임광물을 쓰는 전자업계를 중심으로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박경덕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국내 기업이 책임광물 공급망 관리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경우 이 분야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며 "블록체인 기술로 제품 소재에 대한 상세 정보를 유통 네트워크 참여자와 규제 당국에 자동으로 투명하게 공개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또 "이를 통해 '공급망 실사 자체 인증 의무'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업이 엄격하게 공급망을 관리하고 있음을 국제사회에 홍보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예진수선임기자 jinye@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