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후 '드루킹'특검을 요구하며 7일째 국회 앞에서 단식농성 중인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의 건강상태를 출동한 119구조대가 체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 파행 사태가 더욱 악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여야의 국회 정상화 협상이 교착상태를 보이자 정세균 국회의장은 6·13 지방선거에 출마한 의원들의 사직 처리를 위해 14일 사직서의 직권상정 가능성을 시사했다. 자유한국당은 정 의장이 사직서를 본회의에 직권상정할 경우 더욱 극단적인 투쟁을 하겠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국회의 교착국면은 다음 주에 더욱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
정 의장은 10일 오전 단식투쟁 중인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를 방문한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특정 지역을 공백 상태로 만드는 것은 민주주의의 기본원리에 맞지 않는다"며 "직권상정 문제는 굉장히 엄중하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당은 강하게 반발했다. 윤재옥 한국당 원내수석부대표는 10일 천막농성 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직권상정하면 파행을 더욱 심각하게 만들 우려가 있다. 직권상정이 되면 야당은 더욱 극단적인 투쟁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더불어민주당의 새 원내 지도부가 구성돼도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1일 열리는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한 홍영표·노웅래 의원 모두 민주당원의 댓글 여론조작 사건(필명 드루킹 사건)에 대한 특검에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두 의원 중 누가 원내대표로 선출되더라도 한국당 등 야당이 특검을 관철하기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하지만 이번 주말을 거치며 여야 간 국회 정상화 논의가 급물살을 탈 수도 있다. 정 의장이 사직서를 14일 본회의에 직권상정 하더라도 민주당(121석)·정의당(6석) 만으로는 재적 과반(147석)을 확보할 수 없어 사직서의 처리 가능성은 높지 않다. 때문에 사직서 처리 문제를 고리로 여야가 국회 정상화 협상을 재개할 가능성도 있다. 이호승기자 yos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