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이상 10명중 1명 치매환자
국가적 비용 13조6000억 달해
'치매국가책임제' 국민부담 해소



국내 65세 이상 노인 인구 10명 중 1명은 치매 환자로 나타나, 이들을 돌보기 위해 한 해 국가적으로 드는 비용이 13조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치매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10년 동안 1조원을 투입해 치료제와 돌봄기술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17일 중앙치매센터가 발표한 '대한민국 치매 현황 2017' 보고서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 중 치매 추정 환자는 66만1707명으로, 유병율이 9.8%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치매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는 65세 이상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152만1835명으로, 전체 노인 인구의 22.4%에 달했다. 치매 환자 1명에 들어가는 의료비, 간병비, 요양비 등 전체 관리비는 2054만원으로, 연간 평균 가구 소득 4454만원의 46.1%에 달해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계에 막대한 부담을 주고 있다. 국가 전체 치매 관리비용은 13조6000억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0.8%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민들의 치매로 인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치매국가책임제'를 내세운 정부는 전국 256개 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를 열고 상담과 검진 등을 제공하고 있다. 또 중증 치매 환자의 의료비 본인 부담률을 10%로 낮췄고, 치매 의심 군에 대한 신경인지검사와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등에 건강보험 적용했다. 올해는 치매 환자도 장기요양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손보고 있다.

문제는 인구 고령화로 인해 치매 환자가 계속 늘면서 재정부담이 커진다는 점이다. 국내 치매 환자는 2024년 100만명을, 2041년에는 200만명을 넘어서 2050년에는 271만명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 시기가 오면 국가 치매 관리비용이 1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전문가들은 치매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선 질환의 근본 원인을 밝히고 조기진단 기술과 치료제 등을 개발하기 위한 과학기술 연구개발(R&D)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정부는 그동안 체계적 계획 없이 부처별로 산발적으로 투자되던 국가 치매 R&D 사업을 손질해 내년부터 10년 동안 1조1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국가치매연구개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총괄 사업단 중심의 일원화된 운영체계를 갖추고 치매 발병을 5년 늦춰 10년 후 증가속도를 50% 줄이는 것을 목표로 △원인 규명 및 예방 △혁신형 진단 △맞춤형 치료 △체감형 돌봄 등 분야의 R&D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치매가 유발되는 원인을 파악해 '한국형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조기 진단을 위한 영상·혈액·생체신호 기반 기술과 융합형 진단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 치매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신약과 치매 환자의 생활 유지를 돕는 돌봄 로봇, 웨어러블 로봇 등 치매 환자 체감형 기술도 개발한다. 현재 이 사업은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을 앞두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증상악화 지연으로 유병률과 돌봄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해 국민 의료비 감소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며 "치매 치료 시장을 선점하고 글로벌 기술 경쟁력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남도영기자 namdo0@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