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김동연 부총리 주재 경제관계장관회의서 ‘마포 청년혁신타운 조성안’ 발표 지방이전 신보 사옥 리모델링, ICT이노베이션스퀘어·메이커페이스 설치 정부 판교·강남과 묶어 혁신창업 트라이앵글로 ‘육성’
서울 마포의 신용보증기금 사옥과 사무실 전경. 기재부 제공
서울 마포의 신용보증기금 사옥이 내년까지 청년 창업기업들이 입주하는 '청년혁신타운'으로 거듭난다.
신보가 지난 2014년 12월 대구로 이전한 뒤 해당 사옥의 매각이 번번히 유찰된 데다 서울 서북권의 청년창업공간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다.
정부는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16일 '제5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마포 청년혁신타운 조성방안'을 확정·발표했다.
신보의 대구 이전으로 공실로 남은 17개 층을 청년 창업공간으로 리모델링 할 방침이다. 타운에는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기업들이 입주해 3년간 300개 기업이 자리를 잡게 한다는 게 정부 방침이다.
타운에는 창업아이디어를 구현하고 시제품 개발과 실증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창업·금융·교육·네트워크'를 원스톱으로 해결할 수 있는 창업지원 시설도 들어선다. 청년혁신 복합지원허브(가칭)를 두겠다는 것인데 '정보통신기술(ICT)이노베이션스퀘어', 시제품 실증체험 공간인 '메이커페이스' 등이 들어설 전망이다. 이 중 ICT이노베이션스퀘어에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과 실증체험 장비가 구축돼 블록체인 사업모델 기획이나 AI창업자 교육이 가능해진다. 24시간 개발공간도 마련한다.
입주기업 대표는 원칙적으로 39세 이하 청년으로 한정했다. 타운에는 또 한국성장금융과 신보 사무소, 혁신모험펀드 운영사 등 국내외 벤처캐피털을 유치할 계획이다. 입주기업에는 정책자금과 펀드를 활용해 청년창업기업 지원자금을 주고, 금리 우대와 보증료 우대 등을 지원한다. 정부 관계자는 "타운의 성과를 봐가며 혁신 창업기업 입주공간을 전국으로 확대할 것"이라며 "유휴 국유재산이나 공공임대주택 상가 그리고 주민센터 등 공공 유휴시설을 활용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마포 혁신타운을 인근 창업지원시설과 신촌의 대학, 여의도의 금융기관과 연계해 서북권역 대표 혁신창업 타운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판교 테크노밸리와 강남 테헤란 밸리와 함께 '글로벌 혁신창업 트라이앵글'로 육성할 예정이다. 권대경기자 kwon213@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