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질환은 연골이 다양한 원인으로 소모돼 발생하는 질환으로 관절이라면 어디든 발생할 수 있다. 그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곳이 바로 무릎으로 정확한 원인은 밝혀진 것은 없지만, 나이,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 등에 의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외상이나 질병 등의 이차적인 요인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질환 초기에는 움직일 때 통증이 나타난다. 오랜 시간 가만히 있다 움직이거나 자세를 바꿀 때 통증이 발생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체중이 실리는 운동을 할 때, 능동적인 활동을 할 때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증상이 악화된다면 움직임에 상관없이 통증이 발생하고 야간통, 휴식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해당 질환은 조기에 치료하지 않는다면 연골이 닳게 되면서 뼈와 뼈가 직접 부딪히게 되고 염증과 통증으로 관절이 붓게 된다. 이때 걸음걸이가 이상해 보일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뼈가 붙게돼 O자형 다리가 될 수 있다.
초기 퇴행성 관절염은 보존적인 치료 또는 중기의 경우 유전자 주사치료를 통해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분들은 무릎의 통증을 방치하다가 증상이 악화된 후 찾아오는 경우가 많다. 연골의 기능이 상실된 상태 혹은 관절에 손상이 입은 상태라면 인공관절치환술을 고려해봐야 할 수 있다.
인공관절치환술은 변형된 조직을 정밀하게 보정하고 균형을 맞춰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적인 방법이다. 인공관절은 인체에 무해하고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관절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특히 단순 교체만이 아닌 심하게 변형되고 상한 관절 주위 인대, 관절막 등 연부조직의 균형을 맞춰 세밀하게 치료해야 한다.
가자연세병원 김포점 전병호 병원장은 "고령 환자의 경우 거동제한으로 인한 합병증의 위협을 벗어날 수 있게 균형을 맞춰 관절 기능을 회복해 빠른 치유 및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고, 관절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운동 범위를 고려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을 하는 데 불편함을 덜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해당 질환은 일상생활 속에서의 예방이 중요하다. 비만이라면 적절한 운동과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해 주는 것이 좋고 운동할 때 무리하거나 혹은 과도하게 관절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또한, 정기검진을 통해 무릎 건강을 체크해 주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sysy3445@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