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2년까지 전국에 2만개 스마트팩토리를 보급한다는 정책을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내실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리 경제의 근간인 제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팩토리 확산에 속도를 내지만 효과적인 추진전략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독일, 일본 등 선진국들이 다품종 맞춤생산 등 제조업 트렌드에 맞춰 제조업 부흥전략을 펴면서 스마트팩토리에 대규모 투자를 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산업계와 정부가 기술과 인력을 준비해가면서 장기적으로 추진하지 않으면 비싼 돈을 써서 들여놓았지만 제대로 써먹지 못하는 '개 발의 편자' 격이 될 수도 있다. 국내 제조업 상황과 다양한 업종에 맞는 플랫폼을 세밀하게 설계하고 준비하지 않으면 실패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기술과 솔루션, 인력이 모두 부족하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과 솔루션 수준은 선진국과 크게 격차가 나는 상황이다. 기술과 시스템을 개발할 인력, 제조현장에 도입된 시스템을 운영할 인력도 제대로 길러내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2022년, 2만개 같은 수치에 매달리기보다는 내실 있는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도입전략을 구체적으로 고민해야 할 것이다.
관련 기관에 따르면 지금까지 국내에 도입된 스마트팩토리 중 생산공정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는 수준은 전체의 2.1%에 그친다. 76.4%는 생산정보를 디지털화하거나 제품의 생산이력을 관리하는 수준이다. 또 21.5%는 생산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수준이다. 맞춤형 유연생산이 가능한 지능형 공장은 없다.
스마트팩토리 공급기업의 기술 수준도 떨어진다. 글로벌 시장은 제조업이 강한 나라들이 대부분 잡고 있다. 독일 지멘스, 미국 GE, 스위스 ABB 등은 기존 제조업 강점에 SW 기술력을 보태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센서, 로봇 등 하드웨어 기술경쟁력이 선진국의 40% 수준에 그치는 데다 SW 영역에서도 선진국과의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인력부족도 문제다. 스마트팩토리 공급기업과 수요기업 할 것 없이 사람 부족을 문제로 꼽는다. 중소기업중앙회가 기업들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 도입 시 우려되는 점을 조사한 결과 35.7%가 인력확보를 꼽았다. 공급기업들 역시 중소기업으로 갈수록 개발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많다고 호소한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과거 기업 대상 전사적자원관리(ERP), 그룹웨어 등 SW 보급사업을 펼친 경험을 스마트팩토리에서 재연해서는 안 된다. 단순 패키지SW 보급이 아니라 제조기업의 디지털화 전략을 지원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업간 격차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솔루션 공급기업과 수요기업 간의 협업 구조,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협업혁신 전략을 세밀하게 세워서 시장경제 안에서 기업들의 필요에 의해서 솔루션 개발과 도입이 일어나게 해야 한다. 아울러 대학, 기업, 지역 등이 협업해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기르도록 하고, 이러한 협업활동에 대해 정부가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국가 R&D를 통해 센서, 로봇 등 요소기술을 국산화하는 데도 투자를 집중해야 한다. 거창한 4차 산업혁명 역시 오랜 기간 공을 들여 사람과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면 남의 얘기에 그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독일, 일본 등 선진국들이 다품종 맞춤생산 등 제조업 트렌드에 맞춰 제조업 부흥전략을 펴면서 스마트팩토리에 대규모 투자를 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산업계와 정부가 기술과 인력을 준비해가면서 장기적으로 추진하지 않으면 비싼 돈을 써서 들여놓았지만 제대로 써먹지 못하는 '개 발의 편자' 격이 될 수도 있다. 국내 제조업 상황과 다양한 업종에 맞는 플랫폼을 세밀하게 설계하고 준비하지 않으면 실패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기술과 솔루션, 인력이 모두 부족하다는 점이다. 특히 기술과 솔루션 수준은 선진국과 크게 격차가 나는 상황이다. 기술과 시스템을 개발할 인력, 제조현장에 도입된 시스템을 운영할 인력도 제대로 길러내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2022년, 2만개 같은 수치에 매달리기보다는 내실 있는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도입전략을 구체적으로 고민해야 할 것이다.
관련 기관에 따르면 지금까지 국내에 도입된 스마트팩토리 중 생산공정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는 수준은 전체의 2.1%에 그친다. 76.4%는 생산정보를 디지털화하거나 제품의 생산이력을 관리하는 수준이다. 또 21.5%는 생산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수준이다. 맞춤형 유연생산이 가능한 지능형 공장은 없다.
스마트팩토리 공급기업의 기술 수준도 떨어진다. 글로벌 시장은 제조업이 강한 나라들이 대부분 잡고 있다. 독일 지멘스, 미국 GE, 스위스 ABB 등은 기존 제조업 강점에 SW 기술력을 보태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센서, 로봇 등 하드웨어 기술경쟁력이 선진국의 40% 수준에 그치는 데다 SW 영역에서도 선진국과의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인력부족도 문제다. 스마트팩토리 공급기업과 수요기업 할 것 없이 사람 부족을 문제로 꼽는다. 중소기업중앙회가 기업들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 도입 시 우려되는 점을 조사한 결과 35.7%가 인력확보를 꼽았다. 공급기업들 역시 중소기업으로 갈수록 개발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많다고 호소한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과거 기업 대상 전사적자원관리(ERP), 그룹웨어 등 SW 보급사업을 펼친 경험을 스마트팩토리에서 재연해서는 안 된다. 단순 패키지SW 보급이 아니라 제조기업의 디지털화 전략을 지원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업간 격차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솔루션 공급기업과 수요기업 간의 협업 구조,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협업혁신 전략을 세밀하게 세워서 시장경제 안에서 기업들의 필요에 의해서 솔루션 개발과 도입이 일어나게 해야 한다. 아울러 대학, 기업, 지역 등이 협업해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기르도록 하고, 이러한 협업활동에 대해 정부가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국가 R&D를 통해 센서, 로봇 등 요소기술을 국산화하는 데도 투자를 집중해야 한다. 거창한 4차 산업혁명 역시 오랜 기간 공을 들여 사람과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면 남의 얘기에 그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