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연구자들이 광스위칭 시스템인 로뎀 장비에 부품을 끼워 성능 테스트를 하고 있다. 이 부품을 이용하면 로뎀의 데이터 처리용량을 기존보다 3배 이상 높일 수 있다. ETRI 제공
국내 연구진이 광통신 시스템을 소프트웨어(SW) 방식으로 제어해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운영·활용할 수 있는 광스위칭 기술을 개발했다. 원격으로 네트워크를 재구성할 수 있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지금보다 한 단계 똑똑한 SDN(SW정의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광통신 네트워크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지능적으로 제어·관리할 수 있는 광스위칭 시스템인 '로뎀(ROADM)' 부품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로뎀은 광통신 회선을 새로 추가하거나 없앨 때 사람이 직접 조정해야 하는 광분기(OADM)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SW 방식으로 망을 설정하거나 회선을 조절할 수 있게 만든 차세대 광통신 기술이다. 기존 광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전송 속도와 상관없이 파장당 일정한 대역폭이 할당돼 작동한다. 이 때문에 낮은 전송 속도로 네트워크가 운영될 땐 상대적으로 자원 낭비가 발생했다.
이와 달리 이 기술은 통신 속도에 따라 자유롭게 파장 대역폭을 SW로 제어·조절할 수 있어 네트워크 용량을 높일 수 있다. 또 기존 네트워크에서는 하나의 전화국이나 기지국으로 여러 방향에서 들어오는 동일 파장의 광신호를 처리하기 어려웠지만, 이 기술을 이용하면 신호가 들어오는 대로 채널폭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어 네트워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연구팀은 이 부품을 적용하면 장비당 데이터 처리량을 기존 8TB(테라바이트)에서 23TB로 세 배 가량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ETRI는 광스위치 시스템 장비업체에 관련 기술을 이전할 예정이다. 이 기술은 지난해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으며, 지난달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세계 최대 광통신학술회의 'OFC 2018'에 선보여 우수성을 입증받았다.
백용순 ETRI 광무선통합연구본부장은 "네트워크 용량과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핵심 광부품과 광 스위칭 장치 개발을 통해 세계적 수준인 우리의 광통신 부품 기술력을 인정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술은 과기정통부의 지원을 받아 코위버, 켐옵틱스, 인엘씨테크놀로지 등과 공동으로 개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