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곳 조사… 고용난 해소 기대
"대·중기 임금격차 완화 시급"

중소기업 10곳 중 6곳 이상이 정부의 청년일자리 대책이 청년 고용절벽 해소에 도움될 것으로 예상했다. 업계는 중소기업의 청년고용 확대를 위해서는 '대·중소기업 임금격차 완화'를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는 중소제조업체 300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청년 일자리 대책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3일 밝혔다.

중소기업의 65%는 청년일자리 대책이 청년 고용절벽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했다. 응답기업의 12.0%는 매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하고, 53.0%는 다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도움이 안될 것'이라는 응답은 35.0%(별로 도움 안될 것 28.7%, 전혀 도움 안될 것 6.3%)에 그쳤다.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를 대상으로 적정한 추경 편성시기를 물은 결과 '4월 국회 통과 등 조속히 처리'(59.5%)를 가장 많이 답했고, '야당과 충분히 협의·조정 후 편성'(28.7%), '잘 모르겠음'(11.8%) 순으로 응답했다.

응답기업의 32.3%는 올해 상반기에 청년 채용의사가 있다고 답했으며 미정인 기업이 39.3%, 채용의사가 없는 기업은 28.3%로 나타났다. 상반기 청년 채용의사가 있는 업체들은 평균 2.9명을 채용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중소기업이 청년층 유입을 위해 중소기업이 개선해야 할 분야(복수응답)로 '임금수준'(85.3%)이 가장 많이 꼽혔다.

고용창출 여력 확보를 위한 중소기업 성장 방안으로 '정책금융(산업은행·수출입은행)의 중소기업 전담화'(52.3%), '중소기업 공동구매 전용 보증제도 지원 확산'(40.7%) 등이 제시됐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청년 일자리 대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협력이익배분제, 성과공유제 등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 완화를 위한 적절한 보완책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면서 "중기중앙회도 좋은 중소기업 표준모델 발굴 등 청년 친화적인 기업 문화 확산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truth@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