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대통령 참석은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 문 대통령, 이념논란 관련 "낡은 이념의 틀 벗어나야" 정부차원 배상·보상, 국가 트라우마센터 건립 등 약속 문재인 대통령은 3일 "4·3 진상규명은 인류 보편의 가치를 되찾는 일"이라며 "더 이상 4·3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 중단되거나 후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0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이같이 말하며 진상 조사 등 과거사 해결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했다.
문 대통령은 추념사를 통해 "국가폭력으로 말미암은 그 모든 고통과 노력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다시 한번 깊이 사과드리고, 또한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현직 대통령이 4·3 추념식에 참석하는 것은 지난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이다. 2014년 국가기념일 지정 이후 대통령 참석은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국가권력이 가한 폭력의 진상을 제대로 밝혀 희생된 분들의 억울함을 풀고 명예를 회복하도록 하겠다"며 "유해발굴 사업도 아쉬움이 남지 않도록 끝까지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 차원의 배상·보상과 국가 트라우마센터 건립 등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또 4·3과 관련한 이념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것과 관련 "아직도 4·3의 진실을 외면하는 사람들, 낡은 이념의 굴절된 눈으로 4·3을 바라보는 사람들이 있다"면서 "우리는 아픈 역사를 직시할 수 있어야 하며, 낡은 이념의 틀에 생각을 가두는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대한민국은 정의로운 보수와 정의로운 진보가 '정의'로 경쟁해야 하는 나라이자 공정한 보수와 공정한 진보가 '공정'으로 평가받는 시대여야 한다"며 "정의롭지 못하고 공정하지 않다면 보수든 진보든 국민을 위한 것이 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4·3 사건 진상 규명과 희생자 명예 회복을 약속한 바 있다. 또 지난해 대선이 치러지기 전에 유족들을 만나 "대통령 자격으로 추념식에 참석해 위상을 높이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날 문 대통령의 추념식 참석은 대선 공약 이행과 과거사 해결에 대한 문 대통령의 강한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는 게 청와대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날 추념식에는 추미애 더불어민주당·홍준표 자유한국당·박주선 바른미래당 대표 등 여야 지도부가 모두 참석했다.박미영기자 mypark@dt.co.kr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제주시 봉개동 4ㆍ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0주년 4ㆍ3희생자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3일 제주시 봉개동 4ㆍ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0주년 4ㆍ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추모비를 참배한 뒤 묵념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