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행성 질환의 대표 격인 무릎 관절염도 늘고 있는 실정이다. 무릎 관절염의 대표적 치료법인 인공 관절 수술이 1년에 약 5만여 건이 시행된다는 우리나라 통계가 있다. 미국에서는 1년에 약 30여만 건이 시행된다고 하니 어찌 보면 흔히 시행되는 수술인데 가장 큰 이유는 수술 결과가 균일하게 나오기 때문이다. 실제 연구 결과를 보면 수술 후 95% 이상의 환자들이 수술 결과에 만족한다고 응답한다.
최근에는 인공 관절 분야도 새로운 기술이 속속 도입되고 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미국에서 2세대 맞춤형 인공 관절 수술이 도입돼 각광을 받았다. 2세대 맞춤형 인공 관절의 원리는 수술 전 환자의 무릎뼈 모양을 MRI나 CT를 이용해서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환자에 정확히 맞는 수술 기구를 제작해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수술 전에 충분히 확인을 하니 당연히 결과가 더 좋다.
최근에는 3세대 맞춤형 인공 관절 기술이 국내 기술로 개발돼 시행되고 있다. 무릎 인공관절 수술 시 무릎의 인대, 근육, 힘줄의 균형을 잘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과거에는 의사 개개인의 경험이나, 숙련도에 기대어 무릎의 균형을 맞췄지만 3세대 맞춤형 인공 관절수술은 무릎에 특수 제작된 바이오센서를 넣어서 무릎 사이의 압력을 정확히 측정함으로써 객관적으로 측정된 압력 수치를 보고 무릎의 균형을 잡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하고 균일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2세대 맞춤형 인공 관절이 기계의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한 것이라면 3세대 맞춤형 인공 관절은 기계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한 것이라고 비유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런 기술의 발전이 수술 결과를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가장 중요한 점은 수술이 좀 더 정확해지는 것이다. 무릎의 균형을 정확히 맞추면 수술 후 무릎 관절의 움직임이 훨씬 부드럽고 자연스러워지기 때문에 수술 후 활동성이 좋아져 삶의 질이 높아진다. 더 중요한 것은 인공 관절의 수명도 연장된다는 것이다. 무릎 사이에서 균일한 압력이 전해지기 때문에 특정 부위에 불필요한 압력의 증가가 없어 자연히 인공 관절 수명 연장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런 신기술들은 비용 문제로 아직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지만 좀 더 많은 자료가 축적되고 좀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된다면 인공 관절 수술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북연세병원 박영식 원장은 "인생 100세 시대의 어두운 면이 퇴행성 질환이라면 3세대 맞춤형 인공 관절 같은 새로운 기술은 인생 100세 시대를 밝히는 등불"이라며 "의학의 발전이 가져올 삶의 질 향상을 예견하며 관절 통증을 무시하지 말고 반드시 초기에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가진 의사와 상담할 것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sysy3445@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