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진원 임금체불 등 신고접수
계약 외부전문가 구성 예정도
[디지털타임스 김수연 기자]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이르면 내달 콘텐츠 공정상생센터를 열 예정이다. 이 센터는 문화 콘텐츠 산업계 현장에서 일어나는 불공정행위와 관련한 신고·상담 창구 역할을 한다.
12일 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진흥원은 서울 역삼동 분원에 이르면 내달, 늦어도 5월 중 콘텐츠 공정상생센터를 개소하기로 하고 세부 작업을 진행 중이다. 진흥원의 공정상생지원단이 센터 운영을 맡는다.
센터 설치는 앞서 문화체육관광부,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정거래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등 관계부처 5곳이 합동대책반을 꾸려 지난해 12월 수립한 '외주제작시장 불공정관행 개선 종합대책' 중 하나다. 센터는 진흥원의 ARS 시스템을 활용해 방송, 음악, 게임, 만화 등 문화 콘텐츠산업에서 일어나는 임금 체불, 불공정 계약 강요 등 불공정행위에 대한 신고를 접수할 예정이다. 또 진흥원은 콘텐츠 계약 관련 전문가, 법조계 전문가 등 10여명의 외부 전문가들로 전문가 풀을 구성할 예정이다. 이 전문가 풀을 통해 센터에서 불공정행위 실태 파악과 대응·지원을 위한 정규 회의를 개최하는 것을 구상 중이다. 전문가 풀과 진흥원의 변호사 출신 직원들 간 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센터에 상주할 법조 분야 전문가 출신의 인력을 신규 채용하는 것도 검토 중이다.
박승준 콘텐츠진흥원 공정상생지원단장은 "공정상생센터 운영 사업의 2018년도 예산으로 1억3500만원을 편성 받았으며, 늦어도 5월엔 개소하는 것을 목표로 준비 중"이라며 "현재 문체부와 함께 이 사업 예산을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
계약 외부전문가 구성 예정도
[디지털타임스 김수연 기자]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이르면 내달 콘텐츠 공정상생센터를 열 예정이다. 이 센터는 문화 콘텐츠 산업계 현장에서 일어나는 불공정행위와 관련한 신고·상담 창구 역할을 한다.
12일 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진흥원은 서울 역삼동 분원에 이르면 내달, 늦어도 5월 중 콘텐츠 공정상생센터를 개소하기로 하고 세부 작업을 진행 중이다. 진흥원의 공정상생지원단이 센터 운영을 맡는다.
센터 설치는 앞서 문화체육관광부,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정거래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등 관계부처 5곳이 합동대책반을 꾸려 지난해 12월 수립한 '외주제작시장 불공정관행 개선 종합대책' 중 하나다. 센터는 진흥원의 ARS 시스템을 활용해 방송, 음악, 게임, 만화 등 문화 콘텐츠산업에서 일어나는 임금 체불, 불공정 계약 강요 등 불공정행위에 대한 신고를 접수할 예정이다. 또 진흥원은 콘텐츠 계약 관련 전문가, 법조계 전문가 등 10여명의 외부 전문가들로 전문가 풀을 구성할 예정이다. 이 전문가 풀을 통해 센터에서 불공정행위 실태 파악과 대응·지원을 위한 정규 회의를 개최하는 것을 구상 중이다. 전문가 풀과 진흥원의 변호사 출신 직원들 간 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센터에 상주할 법조 분야 전문가 출신의 인력을 신규 채용하는 것도 검토 중이다.
박승준 콘텐츠진흥원 공정상생지원단장은 "공정상생센터 운영 사업의 2018년도 예산으로 1억3500만원을 편성 받았으며, 늦어도 5월엔 개소하는 것을 목표로 준비 중"이라며 "현재 문체부와 함께 이 사업 예산을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