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우영 연세대 교수팀 개발
나노입자 활용 성능 극대화
심우영 연세대학교 교수팀이 개발한 투명 플렉서블 압력센서(왼쪽)과 이를 적용한 3D 터치 키보드의 모습.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손가락으로 누르는 힘의 세기에 따라 대소문자를 구별할 정도로 민감하면서 동시에 투명하고 유연한 성질을 가진 압력센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심우영 연세대학교 교수팀이 나노입자를 활용한 고감도 투명 플렉서블 압력센서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그동안 유리처럼 투명하고 종이처럼 휘어지는 웨어러블 기기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시도가 이뤄졌으나 복잡한 표면처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민감도를 높이기 위한 표면의 미세구조 때문에 투명도를 동시에 높이는 것이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빛을 잘 투과하는 실리카 나노입자가 터치센서 표면에 돌출되도록 제작해 거친 표면을 이용한 압력감지 성능을 극대화했다. 또 동시에 터치센서를 투과해도 색의 변화 없이 선명하게 보일 정도로 우수한 투명도를 구현했다.
이번에 개발한 터치센서는 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주방에서 사용하는 랩이나 OHP 필름 등 일상적인 재료 위에도 제작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심우영 교수는 "이 연구는 민감도와 투명성을 동시에 구현한 압력센서를 개발한 것"이라며 "혈압측정 헬스케어 기기와 3D 터치 키보드에 기술을 적용하는 데 성공해 앞으로 고성능 사용자 터치 인터페이스와 웨어러블 기기 등에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에 게재됐다.
남도영기자 namdo0@
나노입자 활용 성능 극대화

한국연구재단은 심우영 연세대학교 교수팀이 나노입자를 활용한 고감도 투명 플렉서블 압력센서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그동안 유리처럼 투명하고 종이처럼 휘어지는 웨어러블 기기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시도가 이뤄졌으나 복잡한 표면처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민감도를 높이기 위한 표면의 미세구조 때문에 투명도를 동시에 높이는 것이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빛을 잘 투과하는 실리카 나노입자가 터치센서 표면에 돌출되도록 제작해 거친 표면을 이용한 압력감지 성능을 극대화했다. 또 동시에 터치센서를 투과해도 색의 변화 없이 선명하게 보일 정도로 우수한 투명도를 구현했다.
이번에 개발한 터치센서는 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주방에서 사용하는 랩이나 OHP 필름 등 일상적인 재료 위에도 제작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심우영 교수는 "이 연구는 민감도와 투명성을 동시에 구현한 압력센서를 개발한 것"이라며 "혈압측정 헬스케어 기기와 3D 터치 키보드에 기술을 적용하는 데 성공해 앞으로 고성능 사용자 터치 인터페이스와 웨어러블 기기 등에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에 게재됐다.
남도영기자 namdo0@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