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ODS 합금 기술 개발
항공엔진·원자로 등 활용 기대

원자력연 연구자가 3D 레이저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개발한 '산화물 분산강화 합금' 제조 공정을 지켜보고 있다. 원자력연 제공
원자력연 연구자가 3D 레이저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개발한 '산화물 분산강화 합금' 제조 공정을 지켜보고 있다. 원자력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항공기 엔진이나 가스터빈 부품 등과 같은 고온의 열에서 오래 견딜 수 있는 핵심 부품 소재를 3D 레이저 프린팅 기술을 통해 쉽게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3D 레이저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성능은 높이면서 빠르게 '산화물 분산강화(ODS)' 합금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산화물 분산강화 소재는 내열이 필요한 모든 금속 재료에 고온에 강한 산화물을 섞어 만든 합금이다. 고온에 강한 특성으로 비행기 엔진, 원자로 부품, 가스 터빈, 미사일 노즐 등 고온 강도와 내열성이 요구되는 국방, 에너지, 항공우주 산업 등에 널리 쓰인다.

기존 산화물 분산 강화 합금은 금속과 산화물을 파우더 형태로 만들어 섞은 후 추가적인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또 제작 단계부터 강화 공정을 통해 강도를 크게 향상시킨 재료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제품을 만들기 쉽지 않다.

연구팀은 이 같은 문제를 역제조 공정을 적용해 해결했다. 최종 제품을 먼저 만든 후 제품 금속 표면에 산화물 입자를 입히고, 3D 프린터의 레이저 열원으로 금속을 녹임과 동시에 산화물 입자를 혼합·냉각시켜 금속 내부에 내열층을 만들어 내는 방식으로 산화물 분산 강화 합금을 제작했다.

이 방식을 통해 산화물 입자를 금속 내부에 고루 분포시키면서 가공 시간과 비용을 기존보다 20분의 1 수준으로 줄이고,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부분만 강하게 만들 수 있었다.

이 기술을 적용해 핵연료 피복관을 만든 결과, 1200℃의 고온에서 피복관에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핵연료 안전성을 5배 가량 높일 수 있었다. 수소폭발이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달리 원자로 내 수소 발생을 억제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술은 한국을 포함해 미국, 일본, 유럽 등에 특허등록을 받았다.

김현길 원자력연 핵연료안전연구부 박사는 "앞으로 사고 저항성 피복관 개발과 함께 국방, 항공우주 등 산업 전반에 보다 많이 쓰이도록 기술을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