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왼쪽 첫번째)가 17일 오후(현지시간) 독일 뮌헨안보회의 '핵 안보' 섹션에서 패널로 참석, 자리에 앉아 있다. 연합뉴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평창에서 시작된 남북대화가 경제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남북을 경제벨트로 연결하는 '한반도 신경제지도'를 제안했다.
추 대표는 17일 오후 (현지시간) 뮌헨안보회의 '핵 안보' 섹션에 패널로 참석해 기조발언을 했다.
추 대표는 기조발언에서 "평창동계올림픽은 지구 상 하나 남은 분단지역에서 열리는 평화올림픽이자 소통창구 하나 없던 남과 북이 대화의 물꼬를 튼 역사적 사건"이라며 "북한의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을 평양으로 초청하기도 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추 대표는 "스포츠로 시작한 남북대화가 경제협력을 비롯한 다음 단계로 발전되길 기대한다"며 "'포스트 평창'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 북한이 더 이상의 도발을 멈추고 비핵화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는 전제를 포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추 대표는 "'한반도 신경제지도'라는 새로운 평화 경제모델을 만들어내고자 한다"며 "남북을 경제 벨트로 새롭게 잇고 신뢰를 구축하는 경제 분야의 평화적 해법"이라고 말했다. 추 대표는 "한국정부의 대화 시도가 대북 공조체제에 균열을 가져올 것이라 우려가 있으나 북한을 제재하는 것은 한국 또한 국제사회와 뜻을 같이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제재를 위한 제재보다는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이끌기 위한 외교적 방법으로서 제재를 이행해야 한다는 것이 한국의 입장"이라고 주장했다.추 대표는 "대한민국이 추진하는 '한반도 평화 구상'은 북핵 불용, 전쟁 불용, 균열 불용이라는 3대 불용 원칙 위에 세워졌다"며 "한국은 핵과 전쟁의 위협이 없는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원한다. 문 대통령의 '신베를린 선언'이 한반도 비핵화를 향해 달려가도록 국제사회가 지지하고 공조해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