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김양혁 기자]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국내 정부에 한국지엠 경영정상화를 위한 협조 요청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표면적으로는 협조지만, 국내 사업장 철수 가능성을 언급하며 정부를 압박하는 모양새다.

고형권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배리 앵글 GM인터내셔널 신임 사장과 어떤 얘기를 했느냐는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의 질문에 "아주 구체적 제안은 아니었고, 대략 협조가 필요한 사안에 관해 얘기했다"고 답변했다. 또 금융지원이나 증자 등에 대해 포괄적으로 얘기했느냐는 질문에는 "네"라고 답했다.

앞서 메리 바라 GM회장의 한 마디로, 한국지엠의 철수설은 재점화됐다. 그는 지난 6일(현지시간) 콘퍼런스 콜에서 한국 사업에 대해 "생존 가능한 사업을 만들기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바라 회장이 언급한 '조치'를 두고 블룸버그 등 외신은 'GM의 이전 상황을 고려했을 때 한국 사업 철수가 예상된다'는 분석을 쏟아냈다.

한국지엠은 2014~2016년 3년간 약 2조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역시 2016년과 비슷한 약 6000억원의 적자를 본 것으로 추정된다. 4년간 적자 규모가 2조5000억원을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곧이어 국내에선 GM이 국내 정부에 한국지엠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유상증자를 제안했다는 소식이 흘러나왔다. 한국지엠의 지분 17.02%를 가진 2대주주인 산은이 2조원 안팎의 적자를 기록 중인 회사에 5000억여원을 지원하는 게 골자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해명 자료까지 내며 이를 즉각 부인했다.

하지만 해명 내용에 석연치 않은 구석이 있었다. 8일 산업부는 "GM 측으로부터 유상증자 등 구체적인 제안을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여기서 '구체적인 제안'이라는 말은 반대로 일련의 제안이 오갔을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해진다. 이에 대해 산업부 관계자는 "워딩 그대로다"고 일축했지만, 이날 고 차관의 발언에 따라 어떤 식으로든 GM과 정부 측의 의견 교환이 있었을 것이란 데 무게가 쏠리고 있다.

김양혁기자 mj@dt.co.kr

고형권 기획재정부 제1차관.<연합뉴스>
고형권 기획재정부 제1차관.<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