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억원 규모 기술이전 계약…국산 백신 개발 진입 ‘시동’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은 순수 국내기술로 수족구병 예방 백신후보주(엔테로바이러스 71형)를 개발해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백신후보주는 백신으로 효능이 확인된 바이러스 분리주를 의미한다.
이날 오전 질병관리본부는 CJ헬스케어와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22억원 규모의 수족구병 백신후보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제품 개발에 착수할 것으로 합의했다.
이번 계약은 전임상 및 임상시험을 위한 원료용 엔테로바이러스 뱅크 및 동물실험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수족구병은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주로 영유아들에게 발병한다. 현재까지 국내에 상용화된 예방백신 및 치료제는 없는 실정이다.
강석희 CJ헬스케어 대표는 "이번 계약을 통해 수족구 백신 상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백신 주권 확보에 기여하는 제약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지섭기자 cloud50@dt.co.kr
8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개최한 수족구병백신 기술이전 협약식에서 박도준 국립보건연구원장(왼쪽)과 김병문 CJ헬스케어 R&D사업개발본부 부사장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질병관리본부 제공)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은 순수 국내기술로 수족구병 예방 백신후보주(엔테로바이러스 71형)를 개발해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백신후보주는 백신으로 효능이 확인된 바이러스 분리주를 의미한다.
이날 오전 질병관리본부는 CJ헬스케어와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22억원 규모의 수족구병 백신후보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제품 개발에 착수할 것으로 합의했다.
이번 계약은 전임상 및 임상시험을 위한 원료용 엔테로바이러스 뱅크 및 동물실험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수족구병은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주로 영유아들에게 발병한다. 현재까지 국내에 상용화된 예방백신 및 치료제는 없는 실정이다.
강석희 CJ헬스케어 대표는 "이번 계약을 통해 수족구 백신 상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백신 주권 확보에 기여하는 제약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지섭기자 cloud50@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