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기 교수팀, 불필요한 임상 초기에 막아 신약개발 기간 단축
서울대병원 임상약리학과 이형기 교수팀은 임상시험 전에 신약 후보물질의 효능을 미리 측정하는 '마이크로도징' 기술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신약개발계획(IND) 승인을 받았다고 7일 밝혔다.

마이크로도징은 미량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해 신약 후보물질에 표적을 붙이고 그 효과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전에 신약 후보물질의 체내 흡수, 분포, 배설과 같은 '약동학적 특성'을 미리 확인함으로써 불필요한 임상시험을 초기에 막을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하고 있다. 이 기술은 현재 미국, 영국, 네덜란드 등의 의약품제조 선진국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도징에 사용되는 방사성동위원소는 양전자단층촬영(PET)에 사용되는 양의 10만분의 1 정도밖에 되지 않아 안전성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형기 교수는 "미국 FDA가 특별한 문제제기 없이 임상시험계획서를 승인해 기쁘다"며, "기술이 활성화 된다면 국내 임상시험에 많은 발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섭기자 cloud50@dt.co.kr

이형기 서울대병원 임상약리학과 교수(서울대병원 제공)
이형기 서울대병원 임상약리학과 교수(서울대병원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