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총장 성낙인)가 용역·파견 근로자 760여 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지난 6일 학교측 대표와 근로자측 대표, 전문가로 구성된 노사 및 전문가협의회에서 학교측과 근로자측 대표가 합의서에 서명하고 악수하고 있다. 서울대 제공
서울대(총장 성낙인)가 용역·파견 근로자 760여 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지난 6일 학교측 대표와 근로자측 대표, 전문가로 구성된 노사 및 전문가협의회에서 학교측과 근로자측 대표가 합의서에 서명하고 악수하고 있다. 서울대 제공
서울대(총장 성낙인)가 용역·파견 근로자 760여 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서울대는 정부 출연 예산이 삭감된 어려운 재정여건 속에서도 청소, 경비, 기계·전기 등 시설분야를 담당하는 학내 용역·파견 근로자를 직접 고용하고 정년을 보장하는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서울대는 연간 약 229억원의 인건비와 추가 소요 비용 재원을 마련하는 등 정규직 전환을 위해 노력해나갈 예정이다. 앞으로 관련 정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추진을 위해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서울대 측은 밝혔다.

서울대는 학교측 대표, 근로자측 대표, 전문가로 구성된 노사 및 전문가협의회에서 '서울대학교 용역파견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에 합의하고 지난 6일 합의서를 작성했다. 서울대 내 용역·파견 근로자는 약 760여 명으로 오는 3월 1일부터 계약이 종료되는 근로자부터 순차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한다. 2019년 4월 전환이 완료될 예정이다.

이번 전환 대상자는 기관장(총장 또는 소속기관장)이 직접 고용하고, 정년은 청소경비 분야 65세, 기계 전기 등 시설분야는 60세로 하며 정년 이후에도 일정 기간(청소·경비 3년, 기계·전기 등 5년) 근로계약(촉탁직)을 체결해 정년 당시와 동일한 근로조건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용역·파견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은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추진정책에 따른 것으로, 지난해 12월부터 노사 및 전문가 협의회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협의를 벌여와 최종 합의에 이르렀다. 이규화 선임기자 david@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규화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