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는 연간 약 229억원의 인건비와 추가 소요 비용 재원을 마련하는 등 정규직 전환을 위해 노력해나갈 예정이다. 앞으로 관련 정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추진을 위해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서울대 측은 밝혔다.
서울대는 학교측 대표, 근로자측 대표, 전문가로 구성된 노사 및 전문가협의회에서 '서울대학교 용역파견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에 합의하고 지난 6일 합의서를 작성했다. 서울대 내 용역·파견 근로자는 약 760여 명으로 오는 3월 1일부터 계약이 종료되는 근로자부터 순차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한다. 2019년 4월 전환이 완료될 예정이다.
이번 전환 대상자는 기관장(총장 또는 소속기관장)이 직접 고용하고, 정년은 청소경비 분야 65세, 기계 전기 등 시설분야는 60세로 하며 정년 이후에도 일정 기간(청소·경비 3년, 기계·전기 등 5년) 근로계약(촉탁직)을 체결해 정년 당시와 동일한 근로조건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용역·파견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은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추진정책에 따른 것으로, 지난해 12월부터 노사 및 전문가 협의회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협의를 벌여와 최종 합의에 이르렀다. 이규화 선임기자 david@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