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교육연, 27·28일 이틀간
핵심·융합기술 등 정보 공유
산업교육연구소가 드론산업 분석과 분야별 활용실태를 논의하는 세미나를 오는 27·28일 이틀간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회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최근, 드론은 사진 촬영용 소형 드론으로부터 정밀농업, 인프라 관리, 택배 및 화물수송 등을 시작으로 활용 영역이 전 산업으로 확산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기술 주도권을 잡기 위한 국가 및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산업교육연구소는 '2018년 드론산업 최신 분석과 상용화 동향 및 분야별 활용실태'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연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기조연설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국내 드론산업의 발전전략을 비롯하여 정책, 트렌드, 핵심기술, 부문별 기술 분석, 신뢰성평가 뿐 아니라 산림, 농업, 해양수산, 주택공사관리, 물류, 재난안전관리, 국토공간정보, 촬영, 융합기술 분야 등 각 산업분야별로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에 이르기까지 드론산업의 제반 정보를 심도 있게 논의하게 된다.
27일 세미나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국내 드론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드론 사용사업(Application Business)의 개요와 관련 기술 및 제도 ▲국내, 외 드론산업의 최근 트랜드 및 시장분석과 참여기업체 사업동향 ▲드론의 구성과 핵심기술 개발현황과 기술경쟁력 분석 및 주요과제 ▲네트워크 기반 드론 제어용 무선통신 연구, 기술개발동향과 보안위협 및 대응방안 ▲드론을 위한 AR/VR 기술개발현황과 응용, 사례 및 기술전망 ▲오픈소스 드론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동향과 주요 기술과제 ▲한국 드론산업계가 지킬 표준인- 드론 신뢰성 평가기준 최근 분석 ▲국내 드론 보험시장의 현황 및 전망과 주요과제 등을 놓고 토론을 벌인다.
28일에는 ▲산림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농업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해양, 수산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건설관리 및 지도제작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물류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재난안전관리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국토공간정보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촬영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드론과 360VR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등의 주제가 발표된다. 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얼마 전 우리 정부가 공공수요 기반으로 초기 시장 육성, 한국형 K-드론 시스템 구축, 실용화 촉진 지원, 인프라 확충 및 기업지원 허브 모델 확산 등을 중심으로 드론산업 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함으로써 향후 10년간 17만 명의 고용유발, 29조 원의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면서 "이번 세미나가 국내외 드론산업의 최근 동향과 핵심기술 등 신지식을 습득하고 활발한 정보교환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규화 선임기자 david@
핵심·융합기술 등 정보 공유
산업교육연구소가 드론산업 분석과 분야별 활용실태를 논의하는 세미나를 오는 27·28일 이틀간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회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최근, 드론은 사진 촬영용 소형 드론으로부터 정밀농업, 인프라 관리, 택배 및 화물수송 등을 시작으로 활용 영역이 전 산업으로 확산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기술 주도권을 잡기 위한 국가 및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산업교육연구소는 '2018년 드론산업 최신 분석과 상용화 동향 및 분야별 활용실태'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연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기조연설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국내 드론산업의 발전전략을 비롯하여 정책, 트렌드, 핵심기술, 부문별 기술 분석, 신뢰성평가 뿐 아니라 산림, 농업, 해양수산, 주택공사관리, 물류, 재난안전관리, 국토공간정보, 촬영, 융합기술 분야 등 각 산업분야별로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에 이르기까지 드론산업의 제반 정보를 심도 있게 논의하게 된다.
27일 세미나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국내 드론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드론 사용사업(Application Business)의 개요와 관련 기술 및 제도 ▲국내, 외 드론산업의 최근 트랜드 및 시장분석과 참여기업체 사업동향 ▲드론의 구성과 핵심기술 개발현황과 기술경쟁력 분석 및 주요과제 ▲네트워크 기반 드론 제어용 무선통신 연구, 기술개발동향과 보안위협 및 대응방안 ▲드론을 위한 AR/VR 기술개발현황과 응용, 사례 및 기술전망 ▲오픈소스 드론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동향과 주요 기술과제 ▲한국 드론산업계가 지킬 표준인- 드론 신뢰성 평가기준 최근 분석 ▲국내 드론 보험시장의 현황 및 전망과 주요과제 등을 놓고 토론을 벌인다.
28일에는 ▲산림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농업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해양, 수산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건설관리 및 지도제작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물류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재난안전관리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국토공간정보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촬영 분야 드론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드론과 360VR 활용실태와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등의 주제가 발표된다. 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얼마 전 우리 정부가 공공수요 기반으로 초기 시장 육성, 한국형 K-드론 시스템 구축, 실용화 촉진 지원, 인프라 확충 및 기업지원 허브 모델 확산 등을 중심으로 드론산업 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함으로써 향후 10년간 17만 명의 고용유발, 29조 원의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면서 "이번 세미나가 국내외 드론산업의 최근 동향과 핵심기술 등 신지식을 습득하고 활발한 정보교환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규화 선임기자 david@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