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운행 관련 정부투자 활발
소비자 수용성·변화준비 부족

우리나라가 '자율주행차 준비 지수'(AV Readiness Index) 순위에서 10위를 기록했다.

5일 글로벌 회계·컨설팅기업 KPMG 인터내셔널이 최근 발간한 '자율주행차 준비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종합접수 20.71점으로 20개 국가 중 10위를 차지했다.

세부 평가항목별로 보면 기반시설은 6.32점(4위), 정책 및 제도는 5.78점(14위)이었고, 소비자 수용성은 4.38점(11위), 기술 및 혁신은 4.24점(9위)을 기록했다.

우리나라는 기반시설 중 자율주행에 중요한 4G 사용성 면에서 일본과 미국 등을 제치고 세계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자동차 도로 상태가 좋은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정책과 제도 부문은 자율주행차 시범운행과 관련 기반시설에 대한 정부 투자가 활발하다는 점에서 양호한 점수를 얻었다.

반면 소비자 수용성 점수는 낮은 편이었다. KPMG가 자율주행차 시험이 진행되는 지역의 인구 밀도를 파악한 결과 한국은 5%에도 못 미쳐 싱가포르(100%)나 네덜란드(79%), 캐나다(37%)보다 훨씬 낮았다.

소비자 변화 준비 지수(Change Readiness Index) 조사에서도 136개국 중 36위에 그쳐 기술 변화에 대응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분석됐다. 기술과 혁신 부문은 산업 파트너십과 연구개발 허브, 특허권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자율주행 기술 관련 기업 본사가 거의 없고 전기차 이용이 저조하며, 자율주행 산업을 키울 동력으로 꼽히는 우버 등 차량호출 서비스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 때문에 전체적인 점수가 낮아졌다. 자율주행차 준비지수 1위는 총점 27.73점을 획득한 네덜란드였다. 이어 싱가포르, 미국 등의 순이었다.

김양혁기자 mj@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