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활용 차량간 교통정보 교류 돌발상황 대처·추돌사고 방지 2019년부터 주요 도로에 적용
SK텔레콤과 국토교통부 산하 한국교통안전공단은 5일 경기도 화성 자율주행 실험도시 '케이-시티(K-City)'에서 5G 통신기술을 활용한 자율협력주행 기술 시연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사각지대에서 갑자기 무단횡단하는 보행자의 정보를 제공해 연쇄추돌을 막는 상황을 시연하고 있다. 박동욱기자 fufus@
5G 기술 시연
[디지털타임스 김지영 기자]SK텔레콤이 업계 처음으로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을 활용해 자율주행차간 협력 운행에 성공했다. 자율주행 등 돌발 상황에 대처하거나 추돌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로 자율주행차 시대에 한 발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 이 기술은 2019년부터 고속도로 등 주요 도로에서 적용될 전망이다.
5일 화성 자율주행 실험도시 'K-시티'에서 SK텔레콤과 한국교통안전공단이 개발한 5G 자율주행차 2대는 자율주행 트랙 약 2㎞ 구간을 달리며 교통정보를 주고받았다.
이 차량들은 스쿨존을 인식하고 자동으로 속력을 줄였고, 어린이 모형이 갑자기 차도로 나타나자 가로등에 설치된 CCTV가 5G 망으로 차에 어린이 접근을 전파했다. 차는 급정거한 후 어린이 모형이 사라진 것을 확인하고 운행을 재개했다. 반응속도는 단 1㎳에 불과했다. 이어 고속도로 출구 구간에서 다중 추돌 사고가 발생하자 앞차는 사고 정보를 뒤따르는 차량과 관제센터에 이 정보를 전달했다.
SK텔레콤과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이를 위해 삼성전자와 협력해 작년 12월 36만㎡ 규모의 K-시티 전 구간에 28㎓ 초고주파대역 5G 망을 구축하고, CCTV·신호등 등 교통 인프라와 자율주행차, 관제센터를 5G로 연동했다.
이번 시연에서 양측은 K-시티 주행도로의 차선 정보와 주변 교통표지판, 신호등 등의 정보를 ㎝단위로 표현한 HD 맵도 공개했다. 자율주행차가 이동하는 동안 주변 차량의 실시간 위치, 신호 및 교통정보, 공사 및 사고 등 주행 정보가 실시간으로 맵에 반영돼 자율주행차의 주행 판단을 돕는다.
이밖에 SK텔레콤은 서울대, 엔비디아와 함께 개발하고 있는 주행판단 인공지능 기술을 소개하고, 해킹 시도를 원천 차단하는 양자 기술 기반 보안 모듈을 자율주행차에 조만간 탑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G 자율주행 세단 외 5G 자율주행 전기버스, 5G HD맵 제작차량 등 다양한 자율주행용 차량도 이날 공개됐다. 이 기술은 다양한 기업과 연구기관에 개방할 예정이다.
서성원 SK텔레콤 MNO사업부장은 "이동통신망의 안전성을 기반으로 V2X, 3D HD맵 등 5G의 강점을 더욱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