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진현진 기자]구글의 인공지능(AI) 자회사 '딥마인드'가 눈의 영상자료를 분석해 질병을 진단하는 AI를 개발했다.
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에 따르면 영국 런던에 본사를 둔 딥마인드는 AI 알고리즘이 안과의사보다 더 빨리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수천 개의 망막 스캔 자료들을 고속으로 처리해 AI 알고리즘이 안과의사의 진단보다 더 빨리, 그리고 효율적으로 눈의 질환 신호를 감지해 내는 것이다.
딥마인드는 지난 2년간 영국 공공 의료서비스 '국민보건서비스'(NHS)와 런던의 세계적 안과 전문병원 무어필즈안과병원(MEH)과 협력해 개발에 성공했고, 이 같은 내용을 한 의학 잡지에 게재했다.
도미니크 킹 딥마인드헬스 책임자는 "의료 영상과 같은 특수한 분야에서 향후 2년간 AI가 엄청난 진전을 이룰 것"이라며 "기계의 학습 능력은 지금보다 한층 민감하고 특별하게 뭔가를 알아차리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딥마인드 알고리즘은 MEH의 안과 의사들이 정성껏 처방한 안과 질환 관련 3D 영상자료들을 제공 받아 활용하도록 훈련됐다.
이 알고리즘은 수백만 개의 풍부한 정보를 제공 받기 때문에 녹내장을 비롯해 당뇨병성망막증, 노환에 따른 시력감퇴 등 안과 3대 질환 신호를 분석해 낼 수 있다.
딥마인드는 안과 질환 진단에 머물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가 방사선치료·유방조영술 스캔 분석에도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구글 관계자는 "두경부암 이미지 라벨링(분류표시)은 5~6년 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딥마인드는 3년 전 10명 정도만 있던 의료 관련 팀에 100명을 배치하고 기술연구와 더불어 AI가 초래할 수 있는 윤리적·사회적 차원의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 중이다.
진현진기자 2jinhj@dt.co.kr
데미스 하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연합뉴스 제공>
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에 따르면 영국 런던에 본사를 둔 딥마인드는 AI 알고리즘이 안과의사보다 더 빨리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수천 개의 망막 스캔 자료들을 고속으로 처리해 AI 알고리즘이 안과의사의 진단보다 더 빨리, 그리고 효율적으로 눈의 질환 신호를 감지해 내는 것이다.
딥마인드는 지난 2년간 영국 공공 의료서비스 '국민보건서비스'(NHS)와 런던의 세계적 안과 전문병원 무어필즈안과병원(MEH)과 협력해 개발에 성공했고, 이 같은 내용을 한 의학 잡지에 게재했다.
도미니크 킹 딥마인드헬스 책임자는 "의료 영상과 같은 특수한 분야에서 향후 2년간 AI가 엄청난 진전을 이룰 것"이라며 "기계의 학습 능력은 지금보다 한층 민감하고 특별하게 뭔가를 알아차리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딥마인드 알고리즘은 MEH의 안과 의사들이 정성껏 처방한 안과 질환 관련 3D 영상자료들을 제공 받아 활용하도록 훈련됐다.
이 알고리즘은 수백만 개의 풍부한 정보를 제공 받기 때문에 녹내장을 비롯해 당뇨병성망막증, 노환에 따른 시력감퇴 등 안과 3대 질환 신호를 분석해 낼 수 있다.
딥마인드는 안과 질환 진단에 머물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가 방사선치료·유방조영술 스캔 분석에도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구글 관계자는 "두경부암 이미지 라벨링(분류표시)은 5~6년 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딥마인드는 3년 전 10명 정도만 있던 의료 관련 팀에 100명을 배치하고 기술연구와 더불어 AI가 초래할 수 있는 윤리적·사회적 차원의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 중이다.
진현진기자 2jinhj@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