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치매 연구개발 기획안 마련…치료제 개발·조기진단 기술 확보 노력 정부가 앞으로 10년간 총 1조원을 투입해 치매 정복에 나선다. 치매 원인 규명과 예방은 물론 치료, 돌봄, 인프라 구축 등 전주기 연구개발(R&D)을 지원해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내겠다는 목표다.
보건복지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공동으로 오는 5~6일 이틀간 '치매연구개발사업' 기획안에 대한 공청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한다고 4일 밝혔다.
정부는 인구 고령화로 치매환자 및 치매관리비용이 증가하는 가운데 국민이 우선 극복해야 할 질환으로 치매를 꼽자 대책 준비를 본격화해왔다.
◇2050년 노인 6명 중 1명 치매 환자=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치매 환자 수는 지난해 70만명에서 2050년 303만명으로 4.3배 늘어날 전망이다. 전체 노인 인구에서 치매환자 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9.9%에서 16.8%로 가파르게 커질 전망이다. 현 추세라면 2050년에는 노인 6명 중 1명은 환자가 된다.
국내총생산(GDP)에서 치매관리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0.9%(13조2000억원)에서 2050년 3.8%(105조5000억원)로 늘어난다. 국가가 치매 관리에 사용하는 비용만 8.1배 증가하는 셈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예방과 돌봄, 재활뿐 아니라 근본적 해결을 위한 중장기 R&D에 투자를 집중하기로 했다. 10년 후에는 치매 발병 나이를 최소 5년 늦추고 환자 증가속도를 절반으로 둔화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10년간 치매 정복 예산 1조1054억원 투입=정부는 △원인규명 및 예방 △혁신형 진단 △맞춤형 치료 △체감형 돌봄 △인프라 구축 등의 분야로 나눠 2019년부터 2028년까지 10년간 총 1조1054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비용은 정부에서 80.8%, 민간에서 12.0% 부담한다.
우선 원인 규명으로 고위험군 환자를 조기 발굴하고 예방관리 기술을 개발해 발병을 늦추기로 했다. 이와 동시에 영상진단의 정확도와 일관성을 향상하고, 혈액과 체액에 기반을 둔 진단기술을 개발해 치매의 조기 진단을 돕는다. 진단이 지연돼 치료 시기를 놓치는 환자를 만들지 않기 위해서다.
근원적 치매치료제 개발도 지원한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치료제는 증상 완화 또는 악화를 늦추는 것만 가능하고 근본적인 치료는 불가능하다. 신약 개발을 위해 치료제 후보물질이 조기에 임상시험에 진입하게 하는 등 장벽을 허물 예정이다. 치매 환자가 스스로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보호자의 신체적, 정신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돌봄 사업도 투자하기로 했다.
이 밖에 연구 활성화를 위한 치매 개방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기초·임상 통합 연구 플랫폼 등 연구자 친화적인 인프라도 구축하기로 했다.
양성일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정부는 치매 극복을 위해 R&D를 체계적으로 재정비하고 전략적인 지원을 통해 치매 환자와 가족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며 "(치매) 연구 친화적인 기반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