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후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민의당 세종시당 창당대회에서 안철수 대표(왼쪽 세번째)와 김중로 세종시당 위원장(두번째), 오세정 의원(네번째)이 관계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햇볕정책'이란 암초에 걸렸다. 두 당이 쉽게 접점을 찾기 어려운 사안이어서 경우에 따라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햇볕정책이 보수정당으로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외교·안보관과 직결돼 있기 때문이다.
국민통합포럼이 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주최한 '국민-바른 양당의 강령 통합을 위한 토론회'에서 통합 신당의 강령에 햇볕정책을 반영시킬 지 여부를 놓고 설전이 벌어졌다.
호남을 지역적 기반으로 탄생한 국민의당의 경우 강령정책에 '대북 포용정책'을 계승·발전시킨다고 명시돼 있을 만큼 햇볕정책을 쉽게 버릴 수 없다. 반면 바른정당은 '햇볕정책은 퍼주기'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바른정당 정책 싱크탱크인 바른정책연구소의 최홍재 부소장은 "햇볕정책이나 상호주의 등의 대북정책에 대한 개념을 (신당 강령에) 굳이 적시할 필요가 있는지 우선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사실상 햇볕정책의 폐기를 주장한 것이다.
포럼의 공동대표인 이언주 국민의당 의원은 이와 관련 "(양당의 외교·안보 정책 기조는) 약간의 뉘앙스 차이는 있을지 몰라도 사실상 별로 다를 게 없다"고 말했다. 세미나가 끝난 직후 기자들과 만나서는 "'햇볕정책을 어떻게 한다'가 강령 자체에 없다. 그리고 그것의 정신인 대북포용기조를 (신당이) 깔고 가는 것 자체에 바른정당도 반대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국민의당 내 통합찬성파 일부는 강력히 반발했다. 이동섭 의원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없으면 호남이 없다. 햇볕정책을 건드리면 우리 당이 합당한다고 하더라도 수도권도 전멸한다"고 지적했다. 신용현 의원은 "(햇볕정책 강령 포함이) 안 된다고 할 건 아닌 것 같다"며 "햇볕정책은 기존의 대북정책 패러다임을 바꾼 면도 있고 북한을 한 동포로, 나라로 인정하며 인권적 차원에서 도입한 것"이라고 했다.
강령 포함 여부는 단순히 박지원·정동영·천정배 의원 등 통합반대파만이 반발할 문제가 아니라 통합찬성파에 속한 다른 호남 지역 의원들에게도 민감한 문제다. 국민의당의 지역 기반인 호남은 물론 수도권 민심이 등을 돌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내부에서 나온다. 햇볕정책이 신당 강령에서 빠질 경우, 통합찬성파에서 이탈자가 발생해 통합 동력이 약해질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