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중심에 문제해결 언급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전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해 있는 위안부피해자 김복동 할머니를 찾았다. 문 대통령은 할머니의 쾌유를 기원하고 위안부문제 해결에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춘추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전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해 있는 위안부피해자 김복동 할머니를 찾았다. 문 대통령은 할머니의 쾌유를 기원하고 위안부문제 해결에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춘추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은 4일 "한일 위안부 합의는 진실과 정의의 원칙에 어긋날 뿐 아니라, 내용과 절차가 모두 잘못된 것"이라며 '피해자 중심 해결' 원칙을 거듭 천명했다. 이는 한일 위안부 합의 파기를 시사한 것으로, 대일 외교에서 위안부 문제만큼은 정공법을 구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8명을 청와대로 초청했다. 지난 12월 28일 외교부의 한일위안부합의 검토 태스크포스(TF) 조사 결과가 나온 지 일주일 만이다. 이날 문 대통령이 피해자 할머니를 청와대로 초청한 것은 위안부합의 TF 조사 결과에 대해 위로를 전하고 피해 당사자들의 의견을 듣기 위한 자리라는 게 청와대 측의 설명이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할머니들 전체적으로 청와대에 모시는 게 꿈이었는데 드디어 모셨다. 국가가 도리를 다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봐달라"며 "과거에 지켜드리지 못했고, 아픔을 보듬어 드리지 못했고, 오히려 할머니들의 의견을 듣지 않고 뜻에 어긋나는 합의를 한 것에 대해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으로서 지난 합의가 양국간 공식 합의였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으나, 그 합의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앞서 문 대통령은 병환으로 서울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해 있는 김복동 할머니를 찾아가 "할머니께서 쾌유하셔서 진실을 위해 함께 해주시길 바란다. 정부가 최선을 다할 테니 마음 편히 가지시라"고도 했다.

청와대에 초청된 할머니들은 일본의 사죄를 한목소리로 요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 당시 초청된 데 이어 두번째 청와대를 찾은 이용수 할머니는 "(한일위안부)합의가 잘못됐다는 것을 밝혀줘 가슴이 후련해서 펑펑 울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통령께서 여러가지로 애쓰시는데 부담이 되겠지만 이 문제는 꼭 해결해달라"고 말했다.

이옥선 할머니는 "우리가 살면 얼마나 살겠나, 사과만 받게 해달라"고 했고, 13세에 평양에서 일본군에 끌려가 고향에 돌아가지 못한 길원옥 할머니는 말 대신 '한 많은 대동강'을 불렀다.

외교부는 다음주 쯤 후속 조치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며, 문 대통령이 직접 관련 대책을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미영기자 mypark@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