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스타트업 '오로라'와 협력
수소전기차에 레벨4 기술 탑재
내달초 고속도·시내도로서 시연

현대차-오로라 자율주행 프로젝트 실현 개념도 [이미지 현대차 제공=연합뉴스]
현대차-오로라 자율주행 프로젝트 실현 개념도 [이미지 현대차 제공=연합뉴스]

[디지털타임스 김양혁 기자] 현대자동차 그룹이 2021년까지 완전 자율주행차를 개발하기로 했다.

구글, 테슬라, 우버 출신의 자율주행 핵심 기술자들이 뭉쳐 설립한 미국 스타트업 '오로라'와 협력, 스스로 운전하는 수소연료전지 자율주행차를 내놓기로 했다. BMW, 볼보, 포드 등 상당수 자동차 제조사들의 완전 자율주행차 개발 완료 시점도 2021년이어서 현대차그룹도 이 때 본격적인 자율주행차 시장 경쟁에 참여한다.

4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18' 개막일에 하루 앞선 8일(현지시간) 현대차 그룹과 미국 자율주행차 전문 기술기업인 오로라는 2021년까지 레벨4 자율주행차를 공동 개발하는 프로젝트 협약을 체결한다. '레벨 4'는 '운전자가 돌발상황에 주의를 기울인다'는 조건만 달린 사실상 완벽한 자율주행 기술 수준이다.

오로라는 구글의 자율주행 기술 총책임자였던 크리스 엄슨, 대표적인 미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총괄이었던 스털링 앤더슨, 차량공유 서비스 선도업체 우버의 인식기술 개발 담당 드류 배그넬 등 내로라 하는 자율주행 기술 선구자들이 창립한 기업이다. 자율주행 분야 소프트웨어 솔루션, 각종 센서와 제어기 등 자율주행차 관련 세계적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오로라와 협력을 위해 정의선 부회장은 지난해 11월 초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나프타) 재협상 전략 점검에 앞서 미국 피츠버그 오로라 본사를 찾아 자율주행차 기술 상황 등을 살펴봤다. 여기서 정 부회장은 양사 공동 개발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협력은 수소 전기차 분야의 선두 주자인 현대차그룹과 자율주행 기술 전문가로 구성된 오로라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성사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이번 프로젝트에선 현대차의 차세대 수소 전기차가 활용된다. 대용량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한 수소 전기차는 안정적 전력공급과 장거리 주행 등의 장점이 있어 자율주행 시험차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했다고 그룹 측은 설명했다.

현대차그룹과 오로라는 2021년까지 업계가 도달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인 레벨4 수준(미국 자동차공학회 기준)의 도심형 자율주행 시스템 상용화를 위해 공동 연구를 한다. BMW, 볼보, 포드 등의 유명 자동차 기업들도 2021년까지 완전 자율주행차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그룹과 오로라는 우선 자율주행 기술을 실험할 최적의 스마트시티를 선정할 계획이다. 스마트시티는 도시 전체에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적용, 모든 도로에서 차와 도로가 서로 통신하는 차량사물통신(V2X) 장치가 깔려 있어 완벽한 자율주행차를 시연하는데 최적이다.

현대차그룹은 차세대 수소전기차에 자율주행 레벨4 수준의 기술을 탑재, 내달 초부터 국내 고속도로와 시내 도로에서 시연할 계획이며, 여기에서 얻은 경험과 데이터도 오로라와 공동연구 과정에 활용할 예정이다.

김양혁기자 mj@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