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혁신성장 2018
친환경 스마트카 주도권 잡아라
친환경·스마트 자동차
친환경·스마트 자동차가 미래 성장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각국 정부는 자국이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아낌없는 지원에 나섰고, 내로라 하는 글로벌 기업들은 공격적 투자와 전략적 협력으로 시장 공략에 열을 올리고 있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잡으려면 정부가 컨트롤타워를 구성해 체계적 육성·지원 시스템을 마련하고, 업계는 서로 벽을 허물어 적극적 협업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완성차 업계를 비롯해 정보통신기술(ICT) 등 전 산업계가 친환경 스마트카 시장 선점에 눈독을 들이는 것은 무엇보다도 관련 시장이 막대한 규모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먼저 지난해부터 열풍이 불고 있는 친환경차 시장은 각국 정부의 친환경 규제 강화와 맞물려 올해부터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자동차는 세계 친환경차 시장 규모가 연평균 24% 성장해 지난해 235만대에서 2025년에는 1627만대로 확대할 것으로 내다봤다. 당장 올해는 신차 출시 확대와 정책적 수혜에 힘입어 배터리 전기차(B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를 중심으로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밖에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은 세계 친환경차 시장이 지난해 315만대에서 2020년 636만대로, JD파워는 오는 2025년 978만대로 커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도요타, BMW, 제너럴모터스(GM) 등 모든 완성차 업체들은 오는 2020년을 기점으로 두자릿수 이상의 친환경차 출시 계획을 내놓고 시장 확대에 사활을 걸고 있다.
커넥티드카와 자율주행차 등 스마트카 시장도 고성장이 점쳐진다. 시장조사업체 BI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016년 세계 커넥티드카 생산량은 2200만대로 전체 자동차 생산량의 27%였지만, 작년 3200만대, 올해 4700만대로 커지는데 이어 2019년에는 6900만대로 전체의 7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시장 규모도 2015년 263억 달러(약 28조4600억원)에서 2020년 1186억 달러로 5배 가량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머지않아 현실로 다가올 자율주행차 시장도 장밋빛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주니퍼 리서치는 2025년까지 세계에 약 2200만대에 달하는 자율주행차가 보급될 것으로 봤다. IHS마킷은 2025년에서 2035년까지 10년간 자율주행차 시장의 연평균 성장율이 43%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친환경·스마트카는 자동차 시장뿐 아니라, ICT·화학·철강·운송·물류 등 제조는 물론 서비스업까지 산업 전반에 막대한 파급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친환경·스마트카 부문에서 한국의 경쟁력은 세계 최고 수준은 아니지만, 선진국 대비 많이 뒤처지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2016년 기술 수준 평가 보고서' 에 따르면 미국 등 최고 기술국 대비 환경친화 자동차 기술은 83.1%, 기술격차는 2.8년 수준이다. 스마트카 기술은 80%, 기술격차는 4년 정도로 평가됐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이 같은 격차에 대해 국내 대기업이 상품화를 서두르지 않아 눈에 띄지 않을 뿐 실제 연구개발(R&D) 역량과 기술 수준은 선진국과 별 차이가 없다는 얘기도 나온다.
무한한 성장 잠재력을 갖춘 친환경·스마트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정부가 관련 산업을 아우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먼저 시장과 산업을 활성화한 후 규제를 적용하는 '네거티브' 방식의 규제체계를 도입할 것을 주문했다.
또 대기업이 경계의 벽을 허물고 융합과 협업으로 세계 최고 제품을 만들고, 아울러 세부 기술 분야에서 중소·중견기업들과 협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또 당장 정부 부처 간 따로 노는 정책을 조정해 혼선을 없애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지난해 4월 디지털타임스와 산업통상자원부 주최로 열린 '2017 스마트카 좌담회'에서 오세일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본부장은 "스마트카 지원 자체가 여러 부처에 흩어져 있어, 컨트롤타워가 있어야 한다"며 "지금은 IT와 융합을 수긍하지만, 여전히 거부감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평 생태계를 만드는 것을 정부가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필수 한국전기자동차협회 회장도 "미래 자동차는 융합제품으로 컨버전스가 중요한데, 우리나라는 따로 가고 있다"며 "정부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시장을 활성화한 후 나중에 규제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용순기자 cy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