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이 14개월 만에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휴대전화 수출은 감소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올해 11월 ICT 분야 수출이 148억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3.3%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 수입은 80억8천달러, 무역수지는 67억2천만달러 흑자였다.

품목별로 보면 11월 휴대전화(완제품+부품) 수출은 20억9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27.4% 감소했다. 4월부터 8개월 연속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다.

스마트폰 세계시장 성장이 둔화하는 가운데 지난해 LG전자[066570]가 일부를 맡았던 구글 브랜드 스마트폰 생산이 올해 대만 HTC로 넘어가면서 수출이 더 감소했다고 정부는 분석했다.

디스플레이 수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3.1% 늘어난 24억7천만달러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요가 늘어 16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반도체 수출은 57억9천만달러로 11.6% 증가했다. 수요 증가와 단가 상승 덕분에 메모리 반도체를 중심으로 22개월 만에 두 자릿수 증가율을 나타냈다.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은 6억6천만달러로 15.2% 늘어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는 베트남에 대한 11월 수출이 13억8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42.2% 급증했다. 해외 생산기지에 휴대전화, 반도체, 디스플레이 납품이 늘어난 영향이다. 대미 수출도 14억8천만달러로 4.9% 증가했다.

반면, 중국(홍콩 포함 80억5천만달러)과 유럽연합(7억7천만달러) 상대 수출은 각각 3.6%, 1.9% 감소했다.

11월 ICT 수입을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31억3천만달러)가 6.1% 줄었고, 휴대전화(11억8천만달러), 디스플레이(4억3천만달러), 컴퓨터 및 주변기기(8억달러)가 각각 0.2%, 1.1%, 15.3% 늘었다.

ICT 분야 무역수지 흑자(67억2천만달러)는 전체 산업 흑자(80억달러)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중국(홍콩 포함 49억7천만달러)과 미국(8억7천만달러)을 상대로 흑자가 유지됐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