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김은 기자] 겨울철 실내에서 적당한 습도를 유지하며 건강을 지켜주는 가습기 관련 특허 출원이 늘고 있다.

15일 특허청에 따르면 가습 장치 관련 특허 출원은 2013년 101건, 2014년 134건, 지난해 146건으로 최근 3년간 연평균 20%가량 증가했다. 가습 장치는 가습 방식별로, 가열식, 초음파식, 복합식, 기화식 등으로 분류된다. 기화식은 젖은 필터를 자연적으로 말리는 자연 증발식과 송풍 팬을 이용하는 에어워셔로 나뉜다. 에어워셔 방식의 경우 가습 장치 관련 전체출원 가운데 52%(199건)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최근 미세먼지가 계절을 가리지 않고 문제가 되면서 가습 뿐만 아니라 실내공기 질에 관심이 커진 것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3년간 출원주체는 에어워셔 방식의 경우 중견 기업과 대기업 출원이 78% 이상, 초음파 방식은 중소기업과 개인 출원이 80% 이상을 차지했다. 에어워셔 방식은 중견기업 가운데 대유위니아가 64건(32%)으로 가장 많이 출원했고, 코웨이 47건(24%), 위닉스 9건(5%)의 순이었다. 대기업은 LG전자가 22건(11%), 삼성전자가 9건(5%)을 각각 출원했다. 초음파 방식은 일부 기업이 주도하기보다는 여러 기업과 개인이 대부분 5건 미만으로 출원했다.

에어워셔 방식에 관한 출원은 제습이나 조명, 공기정화 필터 등 가습 이외의 부가기능에 관한 발명이 79건(40%)으로 가장 많았다. 가습 필터 자동 세척 등 세척관리나 살균 장치 부가 등 안전에 관한 발명이 50건(25%), 히터를 부가하거나 필터의 재질 또는 형상을 변경해 부족한 가습량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 45건(23%)으로 뒤를 이었다. 초음파 방식은 기존의 물통 방식을 개선해 세척이 편리한 수조방식을 도입하거나 살균을 위한 장치를 부가하는 등 안전에 관한 발명이 66건(59%)으로 가장 많았다.

특허청 관계자는 "미세먼지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실내공기 질에 관한 관심이 커져 안전한 가습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를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복합 시스템 기술 개발과 특허 출원이 계속 늘 것"으로 전망했다.

김은기자 silverkim@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