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을 파헤치고 있는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13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D빌딩 사무실에 입주해 본격적인 업무에 돌입했다. 특검팀은 수사 준비 기간에도 강제수사 가능성을 내비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특검팀은 이날 대치동 D빌딩 사무실로 출근한 후 특검보 4명, 윤석열 수사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열고 검찰로부터 넘겨받은 수사기록 검토 진행 상황, 수사팀 편성, 향후 수시 일정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 대변인인 이규철 특검보는 이날 "충분히 기록을 검토해서 철저히 준비한 후 신속하게 수사를 준비할 예정"이라며 "우리 진단으로는 이번 주 중에는 기록 검토가 거의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수사 준비 기간에 압수수색 등 강제 수사가 가능하냐'는 취재진 질의에 "우리가 해석하기에는 수사 준비 기간 중에도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준비 기간에도 강제수사에 나설 가능성을 열어놨다. 법조계에서는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에 대한 강제수사가 빠르게 추진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에 대한 앞선 검찰의 수사가 미진했던 만큼 초반에 속도를 낼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물증 분석을 위한 작업도 서두르고 있다. 특검팀은 디지털 포렌식 장비 여러 대를 사무실에 설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털 포렌식은 전자기기 등의 디지털 정보를 수집·추출, 복구, 분석하는 해 범죄 단서와 증거를 찾아내는 첨단 과학수사 기법이다.

최순실 씨의 태블릿 PC에 박근혜 대통령의 연설문 등이 남아있어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의 공무상 비밀 누설 혐의를 입증한 핵심 증거가 된 만큼 특검팀은 디지털 포렌식 장비를 동원해 검찰로부터 넘겨받은 물증을 직접 분석할 계획이다. 수사 착수에 필요한 인력 인선은 마무리 단계다. 이 특검보는 "특별수사관은 40명을 모두 채우지 않고 여유를 두고 필요에 따라 전문성 가진 변호사 추후 인선할 예정"이라며 "예를 들면 조세 분야 등에서 (전문가가) 필요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특검팀은 특검법상 40명까지 확보할 수 있는 특별검사를 일부 우선 선발해 수사를 시작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전문 인력을 늘린다는 방침이다. 특검은 20∼30여 명의 특별수사관을 확보했으며 나머지 인력은 검사 출신이 아닌 전문 변호사를 선발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정기자 lmj0919@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