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기반 교통사고 위험예측 서비스가 전국으로 확대 추진된다.
13일 미래창조과학부와 도로교통공단은 그동안 대구 지역에서 시범실시 해오던 '빅데이터 기반 교통사고 위험예측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공단은 작년부터 빅데이터 교통정보 분석을 통해 대구광역시 내 교통사고 위험시간대, 위험지역 상위 10곳(TOP10), 사고 위험지수 등을 예측해 대구교통방송 '오늘의 빅데이터 교통정보' 코너를 통해 매일 출퇴근 시간대에 여덟 차례 안내 방송하고 있다.
분석에는 공단의 교통사고통계정보, 한국교통방송 대구본부의 시민 제보 데이터, 대구시의 교통소통정보, 기상청의 날씨정보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데이터 등 약 700만 건 이상의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공단은 빅데이터 교통사고 위험예측 서비스가 운전자의 경각심을 고취시켜 보다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 사고 발생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방송 이후 대구 시내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약 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부와 공단은 서비스 고도화 작업을 거쳐 내년 1월 부산시를 시작으로 서비스를 전국으로 점차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장석영 미래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이번 미래부-도로교통공단 협력을 통해 교통분야까지 빅데이터 활용범위가 넓어져 교통사고 감소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고 강조하고, "빅데이터로 보다 안전한 출퇴근 교통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처럼 국민들이 일상 생활속에서 빅데이터 분석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재운기자 jwlee@
13일 미래창조과학부와 도로교통공단은 그동안 대구 지역에서 시범실시 해오던 '빅데이터 기반 교통사고 위험예측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공단은 작년부터 빅데이터 교통정보 분석을 통해 대구광역시 내 교통사고 위험시간대, 위험지역 상위 10곳(TOP10), 사고 위험지수 등을 예측해 대구교통방송 '오늘의 빅데이터 교통정보' 코너를 통해 매일 출퇴근 시간대에 여덟 차례 안내 방송하고 있다.
분석에는 공단의 교통사고통계정보, 한국교통방송 대구본부의 시민 제보 데이터, 대구시의 교통소통정보, 기상청의 날씨정보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데이터 등 약 700만 건 이상의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공단은 빅데이터 교통사고 위험예측 서비스가 운전자의 경각심을 고취시켜 보다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 사고 발생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방송 이후 대구 시내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약 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부와 공단은 서비스 고도화 작업을 거쳐 내년 1월 부산시를 시작으로 서비스를 전국으로 점차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장석영 미래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이번 미래부-도로교통공단 협력을 통해 교통분야까지 빅데이터 활용범위가 넓어져 교통사고 감소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고 강조하고, "빅데이터로 보다 안전한 출퇴근 교통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처럼 국민들이 일상 생활속에서 빅데이터 분석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재운기자 jwlee@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