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부문 사상첫 흑자
올해 2분기 우리나라의 지식재산권(이하 지재권) 무역수지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류의 영향으로 문화예술저작권 수지는 사상 처음으로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22일 발표한 '2016년 2분기 중 지재권 무역수지(잠정)' 자료를 보면 올 4~6월 특허·실용신안권, 상표·프랜차이즈권, 산업재산권, 저작권 등 지재권 무역수지는 1억6370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2분기 적자 5억8460만달러보다 72.0%(4억2090만달러)나 급감한 규모다. 한은이 통계에 포함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2분기 분기기준으로 가장 작다.
전체 분기로 따져 봐도 지난해 3분기(1억6210만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작은 규모다. 이처럼 적자 규모가 축소된 요인으로는 외국인투자 중소·중견기업의 컴퓨터 프로그램 저작권 비용 감소의 영향이 손꼽힌다. 컴퓨터프로그램 저작권 수지는 5800만달러 적자에서 1억8700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한국은 그동안 지재권 무역에서 만성적인 적자국이었다. 다만 최근에는 기술 발전 등으로 적자규모가 꾸준히 축소되는 추세다.
올 2분기 지재권 수출액은 23억3700만달러이고 수입액은 25억70만달러다. 올 2분기에는 한류의 영향을 크게 받는 문화예술저작권(3400만달러 흑자)이 통계 작성 이래 사상 처음으로 흑자를 기록한 점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 최정태 한은 국제수지팀장은 "올 2분기에 해외 공연 수출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올해 그룹 '빅뱅'의 일본 공연이 선풍적인 인기를 끄는 등 한류 스타들이 아시아에서 선전을 펼치고 있다.
디자인권 역시 올 1분기 1550만달러 적자에서 2분기 2730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산업별로는 서비스업이 1억1160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는 등 선전했다. 서비스업 중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은 흑자규모가 2억9550만달러에 달했다.
다만 제조업은 전기·전자제품(1억7280만달러 적자) 등을 중심으로 2억7310만달러의 적자를 냈다.
한국이 지재권 거래에서 가장 큰 흑자를 본 대상국은 베트남이다. 2분기에 베트남과 거래에서 4억5930만달러 흑자를 냈고 중국과 거래에서 흑자는 3억6380만달러로 나타났다.
그동안 중국을 상대로 흑자가 많았지만, 이번에 베트남으로 바뀌었다.
최 팀장은 "한국 기업들이 베트남에 세운 현지 법인들로부터 특허권을 많이 받고 있다"며 "기업들의 현지 공장들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이전하면서 비롯된 현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과의 지식재산권 거래에서는 8억243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문혜원기자 hmoon3@
올해 2분기 우리나라의 지식재산권(이하 지재권) 무역수지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류의 영향으로 문화예술저작권 수지는 사상 처음으로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22일 발표한 '2016년 2분기 중 지재권 무역수지(잠정)' 자료를 보면 올 4~6월 특허·실용신안권, 상표·프랜차이즈권, 산업재산권, 저작권 등 지재권 무역수지는 1억6370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2분기 적자 5억8460만달러보다 72.0%(4억2090만달러)나 급감한 규모다. 한은이 통계에 포함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2분기 분기기준으로 가장 작다.
전체 분기로 따져 봐도 지난해 3분기(1억6210만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작은 규모다. 이처럼 적자 규모가 축소된 요인으로는 외국인투자 중소·중견기업의 컴퓨터 프로그램 저작권 비용 감소의 영향이 손꼽힌다. 컴퓨터프로그램 저작권 수지는 5800만달러 적자에서 1억8700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한국은 그동안 지재권 무역에서 만성적인 적자국이었다. 다만 최근에는 기술 발전 등으로 적자규모가 꾸준히 축소되는 추세다.
올 2분기 지재권 수출액은 23억3700만달러이고 수입액은 25억70만달러다. 올 2분기에는 한류의 영향을 크게 받는 문화예술저작권(3400만달러 흑자)이 통계 작성 이래 사상 처음으로 흑자를 기록한 점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 최정태 한은 국제수지팀장은 "올 2분기에 해외 공연 수출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올해 그룹 '빅뱅'의 일본 공연이 선풍적인 인기를 끄는 등 한류 스타들이 아시아에서 선전을 펼치고 있다.
디자인권 역시 올 1분기 1550만달러 적자에서 2분기 2730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산업별로는 서비스업이 1억1160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는 등 선전했다. 서비스업 중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은 흑자규모가 2억9550만달러에 달했다.
다만 제조업은 전기·전자제품(1억7280만달러 적자) 등을 중심으로 2억7310만달러의 적자를 냈다.
한국이 지재권 거래에서 가장 큰 흑자를 본 대상국은 베트남이다. 2분기에 베트남과 거래에서 4억5930만달러 흑자를 냈고 중국과 거래에서 흑자는 3억6380만달러로 나타났다.
그동안 중국을 상대로 흑자가 많았지만, 이번에 베트남으로 바뀌었다.
최 팀장은 "한국 기업들이 베트남에 세운 현지 법인들로부터 특허권을 많이 받고 있다"며 "기업들의 현지 공장들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이전하면서 비롯된 현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과의 지식재산권 거래에서는 8억243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문혜원기자 hmoon3@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