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안은 눈 속에서 근거리에 초점을 맞추는 수정체의 노화현상으로, 40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평생을 거쳐 진행된다. 노안교정렌즈삽입술은 노화된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 수정체를 삽입하는 수술로써 더 이상 수정체의 노화현상이 없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노인성 안질환은 수정체의 노화 외에도 황반변성, 녹내장, 안구 건조, 당뇨망막증 등과 같은 질환들이 있는데, 이는 노안교정수술과 전혀 무관하게 누구에게라도 찾아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녹내장은 안압 상승으로 시신경 혈액공급에 장애가 생겨 발생하는 질환으로 수정체의 노화로 인한 노안과는 서로 발병부위가 다르다. 특히 녹내장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기 때문에 노안수술로 아무리 시력이 개선되었다 하더라도 정기적으로 녹내장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눈물 기능 역시 나이를 먹으면서 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눈이 쉽게 피로하고 각막염, 결막염도 잘 생기게 되며 충혈도 잘 된다. 노안교정수술을 한다고 해서 눈물기능이 좋아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술 후에도 꾸준히 안약 치료가 필요하다. 또한 노화가 오면 눈물이 코로 내려가는 길이 좁아지기 때문에 눈에 자극이 조금만 있어도 눈물이 코로 넘어가지 못하고 밖으로 흐르게 된다. 심한 경우 눈물길 수술을 별도로 받아야 한다.
50대 이상이 되면 각막의 형태도 바뀌어 난시 또는 각막수차가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대비 감도가 감소하고 빛 번짐이 생길 수 있다. 노안렌즈 중에는 대비 감도를 높이고 빛 번짐을 최소화한 렌즈가 있긴 하다. 그러나 노안렌즈삽입술은 근본적으로 모든 각막의 수차를 교정하는 수술은 아니므로 별도의 각막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황반변성, 당뇨망막증, 망막혈관폐쇄와 같은 망막 질환은 언제든 고혈압, 당뇨, 고콜레스테롤증과 같은 성인병과 동반되어 발병할 수 있다.
노안교정수술은 수정체의 노화로 생긴 근거리 시력저하를 교정하는 수술로, 백내장이나 빛번짐 등 일부 질환을 동시에 해결할 수는 있지만 노인성 질환을 모두 해결하는 수술은 아니다. 노인성 안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40세 이후부터 안과에서 1년에 한 번 눈 검진을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질환이 발생하면 개별적으로 맞춤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움말 : 강남 조은눈안과 김준헌 원장)
cskim@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