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선선한 공기를 마시며 아침저녁으로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무리하게 의욕만 앞서 효과보다는 '상처'만 남길 수 있다. 특히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 아무런 준비 운동 없이 시작하면 부상에 노출된다. 굳어 있던 근육이 갑작스런 충격을 받으면 쉽게 손상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부위가 바로 어깨이다.

실제로 근육을 만들기 위해 벤치프레스를 무겁게 해서 들다가 어깨힘줄인 회전근개가 파열되는 사례가 많다.

회전근개 파열은 어깨관절 주변에서 어깨를 들고 돌리는 4개의 힘줄 중 하나 또는 여러 개 힘줄이 반복적인 충격이나 마모에 의해 찢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기존에는 50~60대에 힘줄 노화로 인해 찢어지는 질환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근육 운동과 활동적인 레포츠를 즐기는 젊은 환자들이 늘면서 20대를 포함해 30ㆍ40대의 대표적인 어깨질환이 회전근개파열이다.

회전근개가 파열되면 발생 초기 환자들이 어깨 전반에 걸친 극심한 통증을 호소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이 완화되고 팔을 움직이는 데도 어려움이 없다. 때문에 환자들이 회전근개 파열을 방치하기 일쑤다. 어깨통증이 있어도 단순한 근육통으로 여기고 찜질이나 마사지 등 자가치료에 의존하여 치료시기를 놓치기 쉽다.

하지만 방치하면 어깨힘줄이 점점 더 찢어져 손상 부위가 커지고 만성화될 수 있다. 또 수술로 완치가 힘들어질 수 있는데, 근육조직이 지방조직으로 변해 관절경 수술로 힘줄을 봉합하더라도 근육의 재생이 불가능해져 다시 힘줄이 찢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권 원장은 "힘줄 손상 정도가 크지 않으면 보존적 치료를 통해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며 "보존적 치료는 진통소염제, 국소 스테로이드의 투여 또는 온열 치료 등을 환자에 맞춰 진행한다. 하지만 보존적 치료로 증상이 회복되지 않으면 끊어진 힘줄을 원래 자리로 다시 연결해 주는 어깨관절경 수술을 시행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방법은 절개 없이 어깨에 0.5㎝ 구멍을 3~4개 뚫은 다음 한쪽에는 관절내시경을 넣어 관절 내부를 관찰하고 나머지 구멍에는 수술 도구를 삽입해 수술을 진행한다"며 "절개하지 않고 작은 구멍을 내어 수술하기 때문에 통증이나 흔적이 적어 환자들의 심적 부담도 덜 수 있으며 감염이나 합병증 위험도 상대적으로 줄어든다"고 말했다.

도움말 : 마디병원 권준 원장

kyh@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