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박 모씨(52세, 여)는 몇 달 전부터 허리에 통증을 느끼기 시작했지만, 업무와 집안일이 과하고 서서히 나이가 들어가면서 허리가 아파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에 그는 휴식을 취하거나 허리보조기를 착용하는 등의 대처를 했지만 결국 참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자 병원에 찾았고 척추전방전위증을 진단받았다.

사람들은 대부분 나이가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척추, 허리의 통증을 일시적인 현상 혹은 디스크라고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그런 경우도 많지만 척추전방전위증은 3대 척추질환이라 불릴 만큼 환자의 수가 많다. 척추전방전위증은 허리디스크의 원인, 증상, 치료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알고 대처할 필요가 있다.

디스크 질환이 척추뼈 사이에 자리잡고 있는 수핵이 밀려 나와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라면 척추전방전위증의 경우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척추뼈 자체가 비정상적으로 밀려난 증상이다.

대표적으로 2가지 정도를 원인으로 들 수 있으며 척추분리증에 의해 척추 관절과 관절 사이의 분리로 지지가 약해져 척추뼈가 밀려나는 경우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 발생하는 경우다. 후자의 경우 주로 50대 이후 여성에게 흔하며 4~5번째 척추에 흔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 척추전방전위증은 허리, 엉덩이 쪽 통증과 하지로 방상되는 통증, 다리가 저리거나 시린 감각 이상증세 등이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장시간 서 있거나 걸어 다니는 경우 다리가 저리고 당기는 증상이 나타나 앉아서 쉬어가거나 허리를 굽혀 통증을 감소시키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증상을 의심하고 정확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척추전방전위증 진단은 기타 척추질환과 유사하게 진행되며 척추 뼈의 구조를 확인하고 척추관절과 관절 사이의 분리나 척추뼈의 밀려난 정도를 확인한다. 이후 척추 불안정 상태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X-Ray 검사를 시행하며 척추뼈의 전위된 정도나 척추뼈, 관절, 인대의 비대로 신경이 눌리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전산화 단층 촬영(CT 촬영)을 시행한다.

치료는 초기 뼈가 밀려난 정도나 환자의 통증 정도, 나이 등을 고려해 보존적 혹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는데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이때에는 약물요법, 물리치료, 운동요법, 주사요법 등을 병행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로 효과가 없거나 이미 증상이 심해 발목, 발가락까지 마비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감각 장애를 포함한 15분 이상 걷지 못하는 경우 등에는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정형외과 개원가에서는 척추전방전위증 수술법으로 특수 고정장치를 이용해 불안정한 척추 마디를 고정하는 유합술을 시행하고 있다.

관련 전문의는 "유합술은 척추뼈 사이를 자기 자신의 뼈를 이용해 아물게 하는 것으로 과거에는 환자 본인의 골반뼈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수술부위의 남는 척추뼈를 인공 뼈와 혼합해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골반부위 통증을 방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척추전방전위증을 포함한 대부분의 척추질환은 초기에 치료한다면 보존적 치료로 충분히 회복할 수 있다. 따라서 통증을 참고 견디지 말고 조기 진료 및 치료를 통해 수술을 피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덧붙였다.

(도움말 : 지우병원 박준석 원장)

cskim@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