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씨, 혐의 부인 … '모르쇠' 일관 직권남용·사기미수 혐의 등 적용 "연설문은 순수한 마음으로 검토 청와대 대외비 문서 받은적 없어" 안 전 수석, 피의자 신분 출석 "박 대통령·최씨 직거래" 보도도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 수석비서관이 2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청사로 들어가고 있다. 안 전 비서관은 최순실씨와 함께 대기업을 대상으로 미르·K재단을 위해 800억원을 강제모금한 의혹을 받고 있다. 안 전비서관은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한 일이냐'는 질문에 입을 굳게 닫았다. 유동일기자 eddieyou@
최순실 게이트
'비선실세'로 지목 받은 최순실씨(60·최서원으로 개명)가 대부분의 혐의를 부인하고 있지만, 검찰은 영장을 청구하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2일 오후 3시께 법원에 최씨의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지난달 31일 밤 11시57분께 증거인멸·도망의 우려 등을 이유로 조사 도중 최씨를 긴급체포한 데 이은 것이다.
검찰은 최씨에게 우선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공범), 사기미수 혐의를 적용했다. 최씨는 청와대 문건 유출과 국정농단,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을 앞세워 자신이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에 대기업들이 800억원에 가까운 기금을 내도록 강요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에 따르면, 현재 최씨는 이틀 전 위축된 모습으로 "죽을 죄를 지었다"고 말한 것과 달리 대부분의 혐의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최씨는 국정농단 의혹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을 잘 아니까 순수한 마음으로 돕고자 연설문 등을 받아 검토한 것"이라며 "청와대 대외비 문서를 사전에 받은 적 없다"고 혐의를 부인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최씨는 미르재단·K스포츠재단의 형성 과정뿐만 아니라 K스포츠재단이 조성한 자금을 자신의 개인법인인 더블루케이로 빼돌리려 했다는 의혹도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는 안종범 전 수석과 함께 롯데그룹 등 대기업을 압박해 강제로 재단 출연금을 모금하고 해당 자금을 유용했다는 의혹뿐만 아니라 안 전 수석 등 핵심 인물들과의 관련성도 부인하는 상태다.
'핵심 물증'으로 꼽히는 태블릿PC 사용 이력도 주요 조사 대상이다. 검찰은 최씨의 태블릿PC 사용 이력, 안 전 수석 등 주요 인물과의 관련성 등을 입증하는데 수사력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이 태블릿PC에는 200여건의 청와대 문서파일이 담겨있다. 검찰은 이 기기의 복구작업을 마무리하고 파일자료를 검토한 결과, 지난 2014년 3월까지 최씨가 줄곧 사용한 것으로 잠정 결론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씨는 여전히 태블릿PC를 사용한 적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미르·K스포츠 재단의 '강제 모금'이 박근혜 대통령 지시에 따른 것이라는 정황도 속속 드러나고 있다.
이에 따라 청와대가 수사대상에 포함돼야 한다는 여론이 더욱 달아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이 재단 형성에 어느 정도까지 개입했는지가 중요한 포인트다. 이날 동아일보는 안 전 수석이 측근에게 "미르·K 스포츠 재단 설립 등은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한 일"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안 전 수석은 또 "최순실씨와 박 대통령 사이에 '직거래'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 전 수석은 이날 오후 2시 검찰에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했다. 그는 '두 재단 기금 모금과 관련해 전경련에 지시했는가', '박 대통령의 지시를 대행했는가', '재단 출연금 모금에 강제성이 있었냐', '최순실씨를 모른다고 했는데 맞느냐'는 등 쏟아지는 질문에 "검찰에서 모두 말하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안 전 수석은 이날 오전 변호인을 통해 "검찰 조사에 성실히 임하고 책임질 부분 있으면 책임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검찰 출석에 앞서 특수부 검사 출신의 홍기채(47·사법연수원 28기), 김선규(47·사법연수원 32기) 변호사를 각각 선임해 조사에 대비했다. 이들 변호사가 속한 법무법인 담박에는 검찰 조직에 수십 년 동안 몸담은 특수통들이 대거 포진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