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저 17.5% '곤두박질'
인적쇄신 더 늦어질 경우
국정 추진동력 상실 불보듯
내주초에 청와대·내각 개편
"소통 가능하고 신망 갖춘
총리·각료로 일신해야" 지적
■최순실 게이트
최순실 씨 '국정논단의혹'사건을 둘러싼 청와대와 내각 개편이 내주 초에 단행될 것으로 관측된다. 국정 마비 사태가 심화하는데도 후속 인적 쇄신 조치가 미뤄지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도 취임후 처음으로 10%대로 추락했다.
27일 박근혜 정부가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한 후속 인사쇄신에도 실기할 경우, 민심 이반 확산은 물론 국정 추진 동력을 아예 상실할 것이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리얼미터가 지난 24~26일 전국의 성인 유권자 15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2.5%포인트) 결과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전체의 21.2%를 기록, 전주에 비해 무려 7.3%포인트나 떨어졌다. 지난 26일 일간 조사에서는 긍정평가가 17.5%에 그쳐 취임후 처음으로 10%대를 기록했고, 부정 평가는 76%에 달했다.
청와대는 여러 여건상 조속히 결정을 내리기는 어렵다며, 후임자 인선, 향후 정국 운영 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뒤 내주쯤 인사 쇄신을 단행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대통령이 숙고하고 계신다고 했으니 지켜보자"고 했다. 당초 박근혜 대통령은 자신의 잘못을 참모진과 내각에 떠넘기는 모양새라는 점에서 '비서진 총사퇴'나 '전면 개각' 등의 정치권 요구에 부정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개각 폭이 예상보다 작아질 경우 '찔끔 개각'이라는 비판과 시민운동권의 '대통령 하야' 시위 등이 더욱 거세질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야권은 물론 여권에서도 우병우 민정수석, 안종범 정책수석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각종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는 우 민정수석은 이번 사태와 직접 관련은 없지만, 야권으로부터 몇 달째 사퇴 요구를 받고 있는 데다 최 씨에 대한 검찰 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치로 여겨져 청와대 내부에서도 퇴진이 불가피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안종범 정책조정수석의 경우에는 미르재단 관련 의혹에 연루돼 있다는 보도가 쏟아져 교체를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 황교안 국무총리를 교체해 쇄신 의지를 보여주는 방안도 청와대 내에서 거론된다.
향후 내각 중심 국정 운영이 필요한 만큼, 야당과의 소통이 가능하며, 국정도 추스를 수 있는 경륜과 신망, 추진력을 갖춘 국무총리로 바꾸는 것과 함께 정부 각료의 면모도 일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치권에서는 '문고리 3인방'으로 불리는 정호성·이재만·안봉근 비서관 교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수습과 거리가 먼 인적 쇄신이라는 지적이 나올 공산이 크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들끓는 여론을 진정시키기 위해 예상되는 교체 범위보다 큰 폭의 쇄신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예진수선임기자 jinye@dt.co.kr
인적쇄신 더 늦어질 경우
국정 추진동력 상실 불보듯
내주초에 청와대·내각 개편
"소통 가능하고 신망 갖춘
총리·각료로 일신해야" 지적
■최순실 게이트
최순실 씨 '국정논단의혹'사건을 둘러싼 청와대와 내각 개편이 내주 초에 단행될 것으로 관측된다. 국정 마비 사태가 심화하는데도 후속 인적 쇄신 조치가 미뤄지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도 취임후 처음으로 10%대로 추락했다.
27일 박근혜 정부가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한 후속 인사쇄신에도 실기할 경우, 민심 이반 확산은 물론 국정 추진 동력을 아예 상실할 것이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리얼미터가 지난 24~26일 전국의 성인 유권자 15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2.5%포인트) 결과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전체의 21.2%를 기록, 전주에 비해 무려 7.3%포인트나 떨어졌다. 지난 26일 일간 조사에서는 긍정평가가 17.5%에 그쳐 취임후 처음으로 10%대를 기록했고, 부정 평가는 76%에 달했다.
청와대는 여러 여건상 조속히 결정을 내리기는 어렵다며, 후임자 인선, 향후 정국 운영 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뒤 내주쯤 인사 쇄신을 단행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대통령이 숙고하고 계신다고 했으니 지켜보자"고 했다. 당초 박근혜 대통령은 자신의 잘못을 참모진과 내각에 떠넘기는 모양새라는 점에서 '비서진 총사퇴'나 '전면 개각' 등의 정치권 요구에 부정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개각 폭이 예상보다 작아질 경우 '찔끔 개각'이라는 비판과 시민운동권의 '대통령 하야' 시위 등이 더욱 거세질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야권은 물론 여권에서도 우병우 민정수석, 안종범 정책수석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각종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는 우 민정수석은 이번 사태와 직접 관련은 없지만, 야권으로부터 몇 달째 사퇴 요구를 받고 있는 데다 최 씨에 대한 검찰 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치로 여겨져 청와대 내부에서도 퇴진이 불가피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안종범 정책조정수석의 경우에는 미르재단 관련 의혹에 연루돼 있다는 보도가 쏟아져 교체를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 황교안 국무총리를 교체해 쇄신 의지를 보여주는 방안도 청와대 내에서 거론된다.
향후 내각 중심 국정 운영이 필요한 만큼, 야당과의 소통이 가능하며, 국정도 추스를 수 있는 경륜과 신망, 추진력을 갖춘 국무총리로 바꾸는 것과 함께 정부 각료의 면모도 일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치권에서는 '문고리 3인방'으로 불리는 정호성·이재만·안봉근 비서관 교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수습과 거리가 먼 인적 쇄신이라는 지적이 나올 공산이 크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들끓는 여론을 진정시키기 위해 예상되는 교체 범위보다 큰 폭의 쇄신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예진수선임기자 jinye@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