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000270]가 세계 최대규모의 중국 자동차시장 공략을 위해 2018년까지 2년간 4개 차종을 추가로 투입한다.
기아차 재경본부장 한천수 부사장은 27일, 3분기 실적 발표 후 진행한 콘퍼런스콜에서 "중국 시장에서 2017년 쏘렌토급 SUV를 시작으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3개 차종, 승용 1개 차종 등 4종을 추가로 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중국 시장은 성수기인 만큼 KX3 리프레시(상품성개선) 모델과 KX5(국내명 신형 스포티지) 등 SUV 최대 판매에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아차의 올해 3분기 중국 판매는 출고 기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 증가했으며, 수익성도 작년 3분기 이후 지속해서 개선되고 있다.
미국 시장에서는 연말 신형 K7의 성공적인 출시와 내년 초 론칭할 예정인 친환경 소형 SUV 니로의 사전 마케팅에 집중할 방침이다.
유럽에서는 연말에 신차 K5 왜건을 성공적으로 론칭하는 동시에 니로 판매를 통해 환경규제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신흥시장에서는 내년 하반기부터 러시아 등 주요 신흥국 자동차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기대하면서, 내년 초 출시되는 모닝과 프라이드의 신차효과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내수 시장에서는 3분기 실적 악화의 주 요인인 수익차종의 대기수요 해소에 집중할 방침이다.
한 부사장은 "3분기 파업생산 차질 대수가 6만4천대"라며 "상반기 개소세 인하 혜택 종료에도 차종에 따라 1~4개월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파업에 따른 내수 판매 감소가 더욱 아쉽다"고 말했다.
그는 연간 판매목표 달성 가능성에 대해서는 "4분기에 손익회복에 최선을 다하겠지만, 전체적인 연간 판매는 당초 계획보다 일부 차질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한 부사장은 기아차의 통상임금 소송에 대해 "연내 1심 판결이 나올 걸로 예상한다"며 "통상임금의 불확실성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장의 우려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판결이 확정되면 재무 영향에 대해 시장과 즉시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연말 배당 계획에 대해서는 "아직 검토 중이며 연간실적이 나오는 내년 1월말 공식적으로 말하겠다"며 "중장기적으로 경쟁사 수준의 배당성향을 목표로 하는 것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기아차 재경본부장 한천수 부사장은 27일, 3분기 실적 발표 후 진행한 콘퍼런스콜에서 "중국 시장에서 2017년 쏘렌토급 SUV를 시작으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3개 차종, 승용 1개 차종 등 4종을 추가로 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중국 시장은 성수기인 만큼 KX3 리프레시(상품성개선) 모델과 KX5(국내명 신형 스포티지) 등 SUV 최대 판매에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아차의 올해 3분기 중국 판매는 출고 기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 증가했으며, 수익성도 작년 3분기 이후 지속해서 개선되고 있다.
미국 시장에서는 연말 신형 K7의 성공적인 출시와 내년 초 론칭할 예정인 친환경 소형 SUV 니로의 사전 마케팅에 집중할 방침이다.
유럽에서는 연말에 신차 K5 왜건을 성공적으로 론칭하는 동시에 니로 판매를 통해 환경규제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신흥시장에서는 내년 하반기부터 러시아 등 주요 신흥국 자동차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기대하면서, 내년 초 출시되는 모닝과 프라이드의 신차효과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내수 시장에서는 3분기 실적 악화의 주 요인인 수익차종의 대기수요 해소에 집중할 방침이다.
한 부사장은 "3분기 파업생산 차질 대수가 6만4천대"라며 "상반기 개소세 인하 혜택 종료에도 차종에 따라 1~4개월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파업에 따른 내수 판매 감소가 더욱 아쉽다"고 말했다.
그는 연간 판매목표 달성 가능성에 대해서는 "4분기에 손익회복에 최선을 다하겠지만, 전체적인 연간 판매는 당초 계획보다 일부 차질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한 부사장은 기아차의 통상임금 소송에 대해 "연내 1심 판결이 나올 걸로 예상한다"며 "통상임금의 불확실성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장의 우려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판결이 확정되면 재무 영향에 대해 시장과 즉시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연말 배당 계획에 대해서는 "아직 검토 중이며 연간실적이 나오는 내년 1월말 공식적으로 말하겠다"며 "중장기적으로 경쟁사 수준의 배당성향을 목표로 하는 것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