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백남기씨 사망진단서 논란 이후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연명 의료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진 가운데 국민 10명 중 7명이 호스피스 이용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호스피스는 임종이 가까워진 환자가 단순한 생명 연장이 아닌 전문 인력의 '총체적인 돌봄'(Care)을 받으면서 육체적 고통을 줄이면서 편안한 죽음을 맞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료 서비스 제도다.
윤영호(서울대 의과대학)·이근석(국립암센터) 교수팀은 호스피스·연명의료법 시행을 1년 앞둔 현시점에서 국민 1천241명과 의사 859명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먼저 호스피스 및 완화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는 국민은 전체 조사대상자 중 73.3%인 것으로 조사됐다. 의사의 경우 이보다 높은 98.7%가 서비스 이용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현재 호스피스 대상 질환이 암·에이즈·만성폐쇄성호흡기질환·만성간경화에 한정된 점에 대해서는 국민 76.1%, 의사 81.3%가 "형평성에 어긋나 있다"고 답해 앞으로 호스피스 대상 질환 종류를 더욱 확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에 따르면 국민 69.7%와 의사 91.5%(복수응답 가능)가 '난치성 유전 및 신경질환'을 최우선으로 호스피스 대상에 포함해 줄 것을 희망했다.
또 국민 68.2%는 '치매'를, 의사 75%는 '소아 비암성 중증질환'을 두 번째 호스피스 확대 대상으로 지목해 약간의 인식 차를 보였다.
질환이 말기에 접어들었을 때 선호하는 돌봄 장소에 대해서는 국민의 경우 '상급 종합병원을 이용하겠다'는 응답이 3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의사는 '호스피스기관을 이용하겠다'는 응답이 44.9%로 나타났다.
다만 수주 혹은 수일 이내 임종이 예상될 때 국민은 '자택을 선호한다'는 응답(31.3%)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의사는 질환 말기와 동일하게 '호스피스기관을 이용하겠다'는 응답(58.3%)이 주를 이뤘다.
이처럼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사전 연명의료계획서와 같은 세부적인 사항은 아직 대다수 국민이 모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전 연명의료의향서를 알고 있는 국민 15.6%에 불과했으며 이 수치는 의사(60.8%)와 비교하면 약 4분의 1에 불과했다.
연구를 총괄한 윤영호 교수는 "정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법이 시행되기 전에 호스피스와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적정 수요를 예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전의료계획이 무엇인지 알리기 위한 대국민 홍보 전략을 구축하고 범부처 웰다잉종합계획을 수립해 앞으로 국민이 호스피스 서비스를 받는데 큰 혼란이 없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호스피스는 임종이 가까워진 환자가 단순한 생명 연장이 아닌 전문 인력의 '총체적인 돌봄'(Care)을 받으면서 육체적 고통을 줄이면서 편안한 죽음을 맞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료 서비스 제도다.
윤영호(서울대 의과대학)·이근석(국립암센터) 교수팀은 호스피스·연명의료법 시행을 1년 앞둔 현시점에서 국민 1천241명과 의사 859명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먼저 호스피스 및 완화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는 국민은 전체 조사대상자 중 73.3%인 것으로 조사됐다. 의사의 경우 이보다 높은 98.7%가 서비스 이용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현재 호스피스 대상 질환이 암·에이즈·만성폐쇄성호흡기질환·만성간경화에 한정된 점에 대해서는 국민 76.1%, 의사 81.3%가 "형평성에 어긋나 있다"고 답해 앞으로 호스피스 대상 질환 종류를 더욱 확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에 따르면 국민 69.7%와 의사 91.5%(복수응답 가능)가 '난치성 유전 및 신경질환'을 최우선으로 호스피스 대상에 포함해 줄 것을 희망했다.
또 국민 68.2%는 '치매'를, 의사 75%는 '소아 비암성 중증질환'을 두 번째 호스피스 확대 대상으로 지목해 약간의 인식 차를 보였다.
질환이 말기에 접어들었을 때 선호하는 돌봄 장소에 대해서는 국민의 경우 '상급 종합병원을 이용하겠다'는 응답이 3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의사는 '호스피스기관을 이용하겠다'는 응답이 44.9%로 나타났다.
다만 수주 혹은 수일 이내 임종이 예상될 때 국민은 '자택을 선호한다'는 응답(31.3%)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의사는 질환 말기와 동일하게 '호스피스기관을 이용하겠다'는 응답(58.3%)이 주를 이뤘다.
이처럼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사전 연명의료계획서와 같은 세부적인 사항은 아직 대다수 국민이 모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전 연명의료의향서를 알고 있는 국민 15.6%에 불과했으며 이 수치는 의사(60.8%)와 비교하면 약 4분의 1에 불과했다.
연구를 총괄한 윤영호 교수는 "정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법이 시행되기 전에 호스피스와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적정 수요를 예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전의료계획이 무엇인지 알리기 위한 대국민 홍보 전략을 구축하고 범부처 웰다잉종합계획을 수립해 앞으로 국민이 호스피스 서비스를 받는데 큰 혼란이 없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