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력은 국내 최대 규모인 10㎿급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실증플랜트의 3000시간 장기연속운전에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장기연속운전에 성공한 10㎿급 이산화탄소 포집 실증플랜트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으로 한전과 한국중부발전, 포스코 등이 공동으로 2013년 보령화력발전소에 설치하고 성능 및 신뢰성 시험을 마친 뒤 지난 4월부터 연속운전을 개시했다.
국내 최초로 설치된 실증급 파일럿인 이 이산화탄소 플랜트는 연간 약 7만톤(하루 180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규모로, 한전 전력연구원이 독자 개발한 세계 최고 수준의 이산화탄소 습식 흡수제(KoSol)를 적용했다. 특히 90% 이상의 포집효율과 상용흡수제 대비 에너지 소비량이 35% 저감 효과가 있다고 한전은 전했다.
한전은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의 신뢰성과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확보함으로써 100~500㎿ 규모의 상용설비로 격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한전은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기술, 분리막 이용 포집기술 등에 대한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 7월 국내 중소기업인 아스트로마와 이산화탄소를 저비용·고효율로 분리 가능한 이산화탄소 분리막 생산설비를 세계 최초로 구축하고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했다.
전력연구원이 개발한 이산화탄소 해양저장기술은 해수 1톤당 이산화탄소 약 15㎏을 처리할 수 있으며, 기존 공정 대비 성능은 약 100배 향상된 수준이다. 올해 초엔 별도의 포집 없이 이산화탄소를 중탄산나트륨 등 고부가 화합물로 바꿔 생산하는 이산화탄소 자원화 원천기술을 확보했으며 내년까지 중탄산나트륨을 연간 700톤 생산할 수 있는 실증플랜트를 구축할 계획이다.
박병립기자 riby@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