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A(33) 씨는 한 달 전 무서운 경험을 했다. 차를 몰고 출장을 가던 중 갑자기 심장이 뛰면서 숨이 막히고, 운전하기 어려울 정도로 손발이 저리면서 온몸에 힘이 쭉 빠지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대로 있다가는 당장 죽을 것 같은 공포감에 휩싸여 차를 갓길에 세우고 119에 연락해 응급실로 갔다. 그 이후로 그때 상황이 반복될까 봐 운전대를 잡는 것이 두려워졌다.
요즘 A 씨처럼 공황장애를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공황장애는 몇 년 전만 해도 '연예인 병'으로 치부됐지만, 요즘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증상으로 여겨진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자료를 보면 공황장애로 병원을 찾은 사람은 2010년 5만명에서 2015년 10만명으로 5년 새 약 2배가량 증가했다.
공황장애는 특별한 이유 없이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극단적인 불안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불안장애의 일종이다. '공황'이란 생명에 위협을 느낄 정도의 상황에서 오는 갑작스러운 공포감이다. 이는 생명에 위협을 받는 상황이라면 누구나 느끼는 자연스러운 몸의 반응이다. 하지만 특별히 위협을 느낄만한 상황이 아닌데도 신체의 경보 체계가 오작동해서 위협적인 상황과 동일한 반응이 나타난다면 '공황발작'에 해당한다.
이 질환은 10분 이내에 급격한 불안과 동반되는 신체 증상이 정점에 이르며, 20∼30분 정도 지속하다가 저절로 사라진다. 증상을 경험한 사람들은 죽음이 임박한 것 같은 극심한 불안과 함께 두통, 어지럼, 가슴 두근거림, 메슥거림, 호흡곤란 등을 호소한다.
일생 중 공황발작을 경험하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다.
한 연구에 따르면 전체 성인 인구의 약 30% 정도가 평생 한 차례 이상 공황발작을 경험한다고 한다. 다만 한번 공황발작을 경험했다고 해서 '공황장애'로 판단할 수는 없다. 공황발작의 증세가 여러 번 반복되거나 반복될까 두려운 경우, 또 이 발작이 스트레스나 심근경색과 협십증, 갑상선 질환, 간질, 저혈당증, 빈맥 등 신체질환에 의한 것이 아닐 때 공황장애로 진단한다.
발작 증세가 신체질환 또는 조현병, 적응장애 등 본인이 모르게 앓고 있던 정신질환으로 인한 것이 아닌지 감별이 매우 중요한 만큼 이때는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공황장애는 성별과 연령을 막론하고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증상이지만, 통계적으로는 여성 환자가 많은 것으로 보고된다.
심평원 자료로 보면 2010년만 해도 여성 환자가 약 2만4천명으로 남성 환자(약 2만6천명)보다 적었지만 2011년을 기점으로 역전해 매년 격차를 벌리고 있다. 전체 환자의 연령별 분포는 40대가 가장 많고, 50대, 30대 순이다. 일이나 결혼, 남편, 자식 문제 등으로 스트레스가 많은 30∼50대 중·장년층(약 66%) 여성에게서 잦은 셈이다.
전문가들은 공황장애가 신경 전달물질시스템 이상과 같은 신경생물학적 원인, 부모 상실이나 분리 불안 등 개인이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의 경험, 심각한 정신적 스트레스 등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공황장애는 조기 진단과 치료가 절실한 질환이다.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는다면 대부분 완치가 가능하지만, 방치할 경우 증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공황발작이 간간이 일어나 생활에 큰 어려움이 없지만, 반복되면 공황발작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장소나 상황을 회피하게 되고 이후에는 광범위한 공포증을 갖게 된다.
또 우울증에 빠지거나 심한 경우 자살을 선택하곤 한다.
공황장애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로 나뉜다. 인지행동치료는 왜곡된 생각을 교정하고 상황이나 장소를 회피하려는 행동을 바로잡아 불안이나 공포감을 감소시키는 방식이다. 상황에 따라서는 두 가지 치료를 병행한다.
김수인 이대목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상당수의 공황장애 환자들이 자신이 공황장애라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심장이나 다른 신체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오해한다"면서 "평소와 달리 불안증세와 함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느낀다면 공황발작을 의심해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 공황장애 체크리스트
아래 증상 중 4개 이상이 해당한다면 이미 공황 발작을 경험한 것인 만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게 좋다.
- 맥박이 빨라지거나 심장 박동이 마구 뛴다.
- 땀이 많이 난다.
- 떨리고 전율감이 느껴진다.
- 숨이 가쁜 느낌이나 숨이 막히는 느낌이 난다.
- 질식할 것 같다.
- 가슴이 답답하거나 통증을 느낀다.
- 토할 것 같은 느낌이 있거나 복부 불편감이 있다.
- 현기증을 느끼거나 머리가 띵하다.
- 비현실감이나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인 것 같은 느낌이 있다.
- 자제력을 잃게 되거나 미쳐버릴까 봐 두렵다.
- 죽을 것 같아 두렵다.
- 마비감이나 찌릿찌릿한 느낌 등의 감각 이상이 있다.
- 오한이 나거나 얼굴이 화끈 달아오른다.
요즘 A 씨처럼 공황장애를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공황장애는 몇 년 전만 해도 '연예인 병'으로 치부됐지만, 요즘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증상으로 여겨진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자료를 보면 공황장애로 병원을 찾은 사람은 2010년 5만명에서 2015년 10만명으로 5년 새 약 2배가량 증가했다.
공황장애는 특별한 이유 없이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극단적인 불안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불안장애의 일종이다. '공황'이란 생명에 위협을 느낄 정도의 상황에서 오는 갑작스러운 공포감이다. 이는 생명에 위협을 받는 상황이라면 누구나 느끼는 자연스러운 몸의 반응이다. 하지만 특별히 위협을 느낄만한 상황이 아닌데도 신체의 경보 체계가 오작동해서 위협적인 상황과 동일한 반응이 나타난다면 '공황발작'에 해당한다.
이 질환은 10분 이내에 급격한 불안과 동반되는 신체 증상이 정점에 이르며, 20∼30분 정도 지속하다가 저절로 사라진다. 증상을 경험한 사람들은 죽음이 임박한 것 같은 극심한 불안과 함께 두통, 어지럼, 가슴 두근거림, 메슥거림, 호흡곤란 등을 호소한다.
일생 중 공황발작을 경험하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다.
한 연구에 따르면 전체 성인 인구의 약 30% 정도가 평생 한 차례 이상 공황발작을 경험한다고 한다. 다만 한번 공황발작을 경험했다고 해서 '공황장애'로 판단할 수는 없다. 공황발작의 증세가 여러 번 반복되거나 반복될까 두려운 경우, 또 이 발작이 스트레스나 심근경색과 협십증, 갑상선 질환, 간질, 저혈당증, 빈맥 등 신체질환에 의한 것이 아닐 때 공황장애로 진단한다.
발작 증세가 신체질환 또는 조현병, 적응장애 등 본인이 모르게 앓고 있던 정신질환으로 인한 것이 아닌지 감별이 매우 중요한 만큼 이때는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공황장애는 성별과 연령을 막론하고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증상이지만, 통계적으로는 여성 환자가 많은 것으로 보고된다.
심평원 자료로 보면 2010년만 해도 여성 환자가 약 2만4천명으로 남성 환자(약 2만6천명)보다 적었지만 2011년을 기점으로 역전해 매년 격차를 벌리고 있다. 전체 환자의 연령별 분포는 40대가 가장 많고, 50대, 30대 순이다. 일이나 결혼, 남편, 자식 문제 등으로 스트레스가 많은 30∼50대 중·장년층(약 66%) 여성에게서 잦은 셈이다.
전문가들은 공황장애가 신경 전달물질시스템 이상과 같은 신경생물학적 원인, 부모 상실이나 분리 불안 등 개인이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의 경험, 심각한 정신적 스트레스 등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공황장애는 조기 진단과 치료가 절실한 질환이다.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는다면 대부분 완치가 가능하지만, 방치할 경우 증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공황발작이 간간이 일어나 생활에 큰 어려움이 없지만, 반복되면 공황발작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장소나 상황을 회피하게 되고 이후에는 광범위한 공포증을 갖게 된다.
또 우울증에 빠지거나 심한 경우 자살을 선택하곤 한다.
공황장애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로 나뉜다. 인지행동치료는 왜곡된 생각을 교정하고 상황이나 장소를 회피하려는 행동을 바로잡아 불안이나 공포감을 감소시키는 방식이다. 상황에 따라서는 두 가지 치료를 병행한다.
김수인 이대목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상당수의 공황장애 환자들이 자신이 공황장애라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심장이나 다른 신체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오해한다"면서 "평소와 달리 불안증세와 함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느낀다면 공황발작을 의심해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 공황장애 체크리스트
아래 증상 중 4개 이상이 해당한다면 이미 공황 발작을 경험한 것인 만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게 좋다.
- 맥박이 빨라지거나 심장 박동이 마구 뛴다.
- 땀이 많이 난다.
- 떨리고 전율감이 느껴진다.
- 숨이 가쁜 느낌이나 숨이 막히는 느낌이 난다.
- 질식할 것 같다.
- 가슴이 답답하거나 통증을 느낀다.
- 토할 것 같은 느낌이 있거나 복부 불편감이 있다.
- 현기증을 느끼거나 머리가 띵하다.
- 비현실감이나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인 것 같은 느낌이 있다.
- 자제력을 잃게 되거나 미쳐버릴까 봐 두렵다.
- 죽을 것 같아 두렵다.
- 마비감이나 찌릿찌릿한 느낌 등의 감각 이상이 있다.
- 오한이 나거나 얼굴이 화끈 달아오른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