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더불어민주당 전 상임고문은 2일 "나라를 구하는데 저를 아끼지 않고 죽음을 각오로 저를 던지겠다"고 말했다.
손 전 고문은 이날 오후 광주 동구 금남공원에서 열린 '손학규와 함께 저녁이 있는 빛고을 문화한마당'에 참석해 "기대가 많은 시민, 전국 지지자 여러분의 뜻을 깊이 새기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를두고 내년 대권도전을 사실상 공식화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손 전 고문은 "광주시민, 전남도민과 함께 '약무호남 시무국가'(호남이 없으면 나라가 없다)의 정신, 이순신 장군의 백의종군 정신, 다산 정약용이 경세유표를 쓴 개혁의 정신으로 우리나라를 다시 일으켜 세우겠다"며 "한반도 평화의 고장, 통일의 바탕이 되도록 시·도민과 함께 저를 죽일 각오로 나설 것을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산의 애민정신, 의병 김덕령 장군의 의병정신, 이순신 장군의 백의종군 정신을 거듭 거론하며 '출정' 의지를 피력했다.
손 전 고문은 "다산 선생은 나라와 백성 삶의 어려움을 생각해야 하늘의 구름, 뜰앞의 초록이 아름답게 보이고 거기에서 시가 나온다고 말씀하셨다"며 "나라가 절망의 구렁텅이에 빠진 느낌인데도 정치가 갈 곳을 잃고 있어 나라의 어려움을 펴줄 정치가 어디 있는지 모르겠다"고 진단했다. 이어 "남북관계가 완전히 절벽에 가로막힌 채 한반도는 사드배치로 국론이 분열되고 앞으로는 동북아 분쟁 중심지, 아니 전쟁터가 될 위기에 있다"며 "김덕령 장군이 임진왜란 때 싸운 의병정신의 총결합체가 광주 5·18 정신이고, 의로운 젊은이들이 군사독재의 폭압에 저항하고 질서를 지키면서 주먹밥을 먹으며 광주를 지킨 게 위대한 호남정신"이라고 규정했다.
손 전 고문은 행사 직후 "이날 발언이 대권도전 선언으로 봐도 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을 삼갔다. 그러나 지난 7월 29일 "더는 물러설 데가 없다"며 사실상 정계복귀를 선언한 데 이어 한 달여 만에 나온 이 날 발언은 대권도전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손 전 고문의 복귀 시기는 추석 직후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그는 추석 연휴 직후인 오는 20일 전남 강진아트홀에서 열리는 '다산강좌' 초청 강사로 군중 앞에 선다. 박세정기자 sjpark@dt.co.kr, 연합
손 전 고문은 이날 오후 광주 동구 금남공원에서 열린 '손학규와 함께 저녁이 있는 빛고을 문화한마당'에 참석해 "기대가 많은 시민, 전국 지지자 여러분의 뜻을 깊이 새기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를두고 내년 대권도전을 사실상 공식화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손 전 고문은 "광주시민, 전남도민과 함께 '약무호남 시무국가'(호남이 없으면 나라가 없다)의 정신, 이순신 장군의 백의종군 정신, 다산 정약용이 경세유표를 쓴 개혁의 정신으로 우리나라를 다시 일으켜 세우겠다"며 "한반도 평화의 고장, 통일의 바탕이 되도록 시·도민과 함께 저를 죽일 각오로 나설 것을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산의 애민정신, 의병 김덕령 장군의 의병정신, 이순신 장군의 백의종군 정신을 거듭 거론하며 '출정' 의지를 피력했다.
손 전 고문은 "다산 선생은 나라와 백성 삶의 어려움을 생각해야 하늘의 구름, 뜰앞의 초록이 아름답게 보이고 거기에서 시가 나온다고 말씀하셨다"며 "나라가 절망의 구렁텅이에 빠진 느낌인데도 정치가 갈 곳을 잃고 있어 나라의 어려움을 펴줄 정치가 어디 있는지 모르겠다"고 진단했다. 이어 "남북관계가 완전히 절벽에 가로막힌 채 한반도는 사드배치로 국론이 분열되고 앞으로는 동북아 분쟁 중심지, 아니 전쟁터가 될 위기에 있다"며 "김덕령 장군이 임진왜란 때 싸운 의병정신의 총결합체가 광주 5·18 정신이고, 의로운 젊은이들이 군사독재의 폭압에 저항하고 질서를 지키면서 주먹밥을 먹으며 광주를 지킨 게 위대한 호남정신"이라고 규정했다.
손 전 고문은 행사 직후 "이날 발언이 대권도전 선언으로 봐도 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을 삼갔다. 그러나 지난 7월 29일 "더는 물러설 데가 없다"며 사실상 정계복귀를 선언한 데 이어 한 달여 만에 나온 이 날 발언은 대권도전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손 전 고문의 복귀 시기는 추석 직후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그는 추석 연휴 직후인 오는 20일 전남 강진아트홀에서 열리는 '다산강좌' 초청 강사로 군중 앞에 선다. 박세정기자 sjpark@dt.co.kr, 연합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