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산업 큰 타격 받을것" 정부 구조조정 방안에 불만 "3000억원 이상 지원 받아야" 채권단에 유동성 공급 촉구
<자료:한국선주협회>
[디지털타임스 양지윤 기자] "한진해운이 3000억원을 지원받지 못해 법정관리에 가면 17조원대의 피해가 발생한다."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 한진해운이 생사의 갈림길에 선 가운데 해운업계가 구조조정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며 대응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영무 한국선주협회 상근부회장은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릴 예정인 '마리타임코리아 해양강국포럼'에서 한진해운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밝으면 청산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고 국내 산업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할 예정이다.
한진해운은 지난 25일 채권단에 총 5000억원 규모의 유동성 확보 방안을 담은 자구안을 제출했다. 하지만 채권단이 요구한 '7000억원 이상'의 요구안보다 2000억원 이상 부족해 법정관리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해운업계는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화주들이 즉각 운송계약을 해지하고, 선박압류와 용선(선박임대)계약 해지 등의 정상적인 영업활동이 불가능해져 사실상 '파산' 선고나 다름없다고 보고 있다. 이와 관련 김 부회장은 "전 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는 120만개의 컨테이너가 계획대로 흘러가지 못하고 정지하면 물류대란이 벌어지고 140억달러에 달하는 화물 지연에 대한 클레임이 속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선주협회에 따르면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총 17조원의 피해가 발생한다. 해운업계의 피해 금액만 9조2400억원으로 1193명의 일자리가 사라진다. 부산항만과 선박관리 등의 관련 종사자 2300여명이 일자리를 잃고, 무역업계는 7조4500억원의 피해를 입는다. 해운업계는 채권단이 한진해운에 3000억원의 유동성을 지원할 것을 촉구했다. 한진해운이 존속 시 17조원의 손실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6000여 화주를 유지하고, 현대상선과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김 부회장은 "한진해운을 개인회사로만 볼 게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살리고, 이후 현대상선과 합병을 통해 비용을 줄이고 경쟁력을 향상 시켜 나가야 해운업이 살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을 합병해 세계 5~6위 선사로 거듭나면 해운동맹은 물론 터미널 사업자와 협상에서도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다고 본다.조선업과 형평성 문제도 제기했다. 채권단이 수조원대의 분식회계 의혹을 받고 있는 대우조선해양과 법정관리로 내몰린 STX조선해양 등에 10조원이 넘는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고도 수익성 악화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에서 정작 수출 물류의 대동맥인 해운업은 투자에 대한 지원 없이 자구 노력만 요구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김 부회장은 "조선업과 철강산업의 불황의 근원에는 선박을 발주하는 해운업의 침체가 자리 잡고 있다"며 "위기에 빠진 국적선사를 살리면 선박 발주가 나오고, 이는 선박용 후판의 수요를 늘려 철강업계에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선순환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