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이달 두 번에 걸쳐 인도에 반도체 시장개척단을 파견한다고 22일 밝혔다.
우선 22~23일 인도 뉴델리에 SK하이닉스, 실리콘마이터스, 위즈네트, 제주반도체 등 4개 업체가 휴대전화 제조·부품 기업들을 대상으로 로드쇼를 연다. 지난해 세계 스마트폰의 40%인 약 1억대가 팔린 인도 휴대전화 시장은 앞으로 중저가 제품 중심의 성장이 예상돼 시장개척단은 인도 10개 스마트폰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과 제품을 소개하고 1대 1 맞춤형 기술 상담을 진행한다.
또 오는 30~31일엔 자동차 반도체 업체인 텔레칩스, 피엔피네트워크, 넥스트칩, 만도헬라 등 4개 회사가 인도 뭄바이 자동차산업단지에서 인도 완성차 기업 및 주요 부품사를 대상으로 로드쇼를 개최힌다. 인도는 세계 6위 자동차 생산기지로 우리 기업은 자동차 반도체 시장 진입을 위해 인도 기업 현장 방문 및 수출 상담회를 진행한다.
인도 반도체 시장은 2013년 100억달러 규모에서 2020년 528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는 등 연평균 26%의 성장을 기대하는 유망시장으로 꼽힌다. 이에 산업부는 중국 이후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거대 시장인 인도의 잠재수요에 선제 대응할 수 있도록 KOTRA 등을 통해 중소기업 지사화 사업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박병립기자 riby@dt.co.kr
우선 22~23일 인도 뉴델리에 SK하이닉스, 실리콘마이터스, 위즈네트, 제주반도체 등 4개 업체가 휴대전화 제조·부품 기업들을 대상으로 로드쇼를 연다. 지난해 세계 스마트폰의 40%인 약 1억대가 팔린 인도 휴대전화 시장은 앞으로 중저가 제품 중심의 성장이 예상돼 시장개척단은 인도 10개 스마트폰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과 제품을 소개하고 1대 1 맞춤형 기술 상담을 진행한다.
또 오는 30~31일엔 자동차 반도체 업체인 텔레칩스, 피엔피네트워크, 넥스트칩, 만도헬라 등 4개 회사가 인도 뭄바이 자동차산업단지에서 인도 완성차 기업 및 주요 부품사를 대상으로 로드쇼를 개최힌다. 인도는 세계 6위 자동차 생산기지로 우리 기업은 자동차 반도체 시장 진입을 위해 인도 기업 현장 방문 및 수출 상담회를 진행한다.
인도 반도체 시장은 2013년 100억달러 규모에서 2020년 528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는 등 연평균 26%의 성장을 기대하는 유망시장으로 꼽힌다. 이에 산업부는 중국 이후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거대 시장인 인도의 잠재수요에 선제 대응할 수 있도록 KOTRA 등을 통해 중소기업 지사화 사업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박병립기자 riby@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