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독자개발 표준화 추진
ETSI 상호운용성 시험 통과
다양한 'O2O결제' 활용 기대

국내에서 개발한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반 인터넷통신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될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IETF 워킹그룹에서 개발 중인 NFC 기반 인터넷통신 기술이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가 주관한 저전력 인터넷 통신기술 상호운용성 시험을 통과했다고 18일 밝혔다.

ETRI는 독자 개발한 NFC 기반 인터넷통신 기술을 지난해 3월 인터넷 표준기술을 제정하는 국제기구인 IETF에 제안해 표준권고안으로 채택됐다. 현재 최영환 ETRI 박사와 홍용근 지능형IoE네트워크연구실장이 IETF 워킹그룹의 에디터를 맡고 있어 올 연말에 국제표준으로 정해질 전망이다.

ETRI가 개발한 기술은 그동안 출입통제나 정보수집, 결제, 교통 등의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는 NFC 기반 비접촉식 근거리무선통신 기술을 일반적인 인터넷통신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NFC용 인터넷 적응 계측 프로토콜'이다.

NFC는 전력소비가 낮고 평균 10㎝ 이내의 초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무선 감청 등의 위험이 낮은 것이 장점이다. 이런 특징 때문에 사물인터넷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으나, 그동안 인터넷용 적응 계층 프로토콜 기술이 없어 활용하기 어려웠다.

ETRI는 이 기술이 사물인터넷에 적용하면 다양한 O2O(Online to Offline) 결제 환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형준 ETRI 표준연구센터장은 "이번 기술시험 성과와 국제표준 개발은 앞으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 영역과 저전력 분야로 확장돼 혁신적인 미래 시장의 가능성을 여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도영기자 namdo0@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