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x86 서버 점유율이 계속 늘고 있다. 가격과 편리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코리아(대표 김경덕)는 국내 기업의 x86 서버 사용 실태와 구체적인 만족도를 조사한 '국내 기업의 x86 서버 만족도 및 기술 트렌드 현황' 보고서를 18일 발표했다.
x86 서버는 이미 2012년 이후 국내 시장점유율에서 유닉스 서버를 앞지르며 계속 격차를 벌려 왔으며,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출하량은 3만4200대로 전년 동기보다 25.5% 늘어난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x86 서버 구매 이유로는 응답자중 72.2%가 가격을 꼽았고, 이어 관리 편의성(48.2%), 성능(43.0%), 확장성(36.2%), 안정성(33.7%)이 뒤를 이었다(복수 응답 기준).
또 전체 응답자의 73.5%가 금융 거래나 전사자원관리(ERP), 공급망관리(SCM), 학사행정 등 핵심 업무 시스템을 x86 서버 인프라로 운영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기업 규모 별로는 기업 규모가 클수록 x86 서버를 핵심 업무에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IT 기업에 비해 비 IT 기업이 x86 서버를 활용하는 비중이 더 높았다.
현재 x86 서버를 핵심 업무에 사용하고 있는지에 따라 향후 추가 구매 계획을 비교한 결과, 핵심 업무에 x86 서버를 사용하는 기업의 66.5%가 구매 계획이 있다고 답한 반면, 그렇지 않은 기업은 41.5%로 나타났다. 또 x86 서버를 계속 이용하거나 다른 종류의 제품으로 변경하려는 이들 모두 가격을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다.
x86 관련 신기술 중에서는 클라우드와 빅데이터가 압도적인 관심을 받았다. 응답자 10명 중 7명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5명이 빅데이터를 꼽았고, 이어 컨버지드 인프라, 소프트웨어정의 인프라(SDx), 사물인터넷 등이 뒤를 이었다.
김경덕 델코리아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이미 엔터프라이즈 시장의 대세로 자리잡은 x86 서버에 대한 고객의 높은 만족도와 핵심 업무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 현황을 현실적인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며 "기존에 잘 알려진 가격경쟁력 이외에도 관리 편의성, 성능 등 x86 서버가 자랑하는 특장점들이 점차 다양한 업종의 고객들에게 어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운기자 jwlee@dt.co.kr
델코리아(대표 김경덕)는 국내 기업의 x86 서버 사용 실태와 구체적인 만족도를 조사한 '국내 기업의 x86 서버 만족도 및 기술 트렌드 현황' 보고서를 18일 발표했다.
x86 서버는 이미 2012년 이후 국내 시장점유율에서 유닉스 서버를 앞지르며 계속 격차를 벌려 왔으며,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출하량은 3만4200대로 전년 동기보다 25.5% 늘어난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x86 서버 구매 이유로는 응답자중 72.2%가 가격을 꼽았고, 이어 관리 편의성(48.2%), 성능(43.0%), 확장성(36.2%), 안정성(33.7%)이 뒤를 이었다(복수 응답 기준).
또 전체 응답자의 73.5%가 금융 거래나 전사자원관리(ERP), 공급망관리(SCM), 학사행정 등 핵심 업무 시스템을 x86 서버 인프라로 운영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기업 규모 별로는 기업 규모가 클수록 x86 서버를 핵심 업무에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IT 기업에 비해 비 IT 기업이 x86 서버를 활용하는 비중이 더 높았다.
현재 x86 서버를 핵심 업무에 사용하고 있는지에 따라 향후 추가 구매 계획을 비교한 결과, 핵심 업무에 x86 서버를 사용하는 기업의 66.5%가 구매 계획이 있다고 답한 반면, 그렇지 않은 기업은 41.5%로 나타났다. 또 x86 서버를 계속 이용하거나 다른 종류의 제품으로 변경하려는 이들 모두 가격을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다.
x86 관련 신기술 중에서는 클라우드와 빅데이터가 압도적인 관심을 받았다. 응답자 10명 중 7명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5명이 빅데이터를 꼽았고, 이어 컨버지드 인프라, 소프트웨어정의 인프라(SDx), 사물인터넷 등이 뒤를 이었다.
김경덕 델코리아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이미 엔터프라이즈 시장의 대세로 자리잡은 x86 서버에 대한 고객의 높은 만족도와 핵심 업무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 현황을 현실적인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며 "기존에 잘 알려진 가격경쟁력 이외에도 관리 편의성, 성능 등 x86 서버가 자랑하는 특장점들이 점차 다양한 업종의 고객들에게 어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운기자 jwlee@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