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자동차는 천홍욱 관세청장, 류원택 부산세관 통관국장 등 세관 고위관계자들과 르노삼성 협력업체 대표들이 함께 참석한 가운데 '자동차산업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원산지검증 대응전략 간담회'를 23일 개최했다. <르노삼성자동차 제공>
르노삼성자동차는 천홍욱 관세청장, 류원택 부산세관 통관국장 등 세관 고위관계자들과 르노삼성 협력업체 대표들이 함께 참석한 가운데 '자동차산업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원산지검증 대응전략 간담회'를 23일 개최했다. <르노삼성자동차 제공>
[디지털타임스 노재웅 기자] 르노삼성자동차는 천홍욱 관세청장, 류원택 부산세관 통관국장 등 세관 고위관계자들과 르노삼성 협력업체 대표들이 함께 참석한 가운데 '자동차산업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원산지검증 대응전략 간담회'를 23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올해 1월부터 국내 완성차의 대미 수출 관세가 완전히 철폐됨에 따라 내년부터 예상되는 미국 세관의 원산지 직접 검증에 대한 사전 준비를 위해 마련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간담회는 르노삼성자동차와 협력업체의 원산지 검증 대응 역량 강화 및 인프라 지원 등에 대한 논의로 진행했다.

르노삼성차는 2014년부터 닛산 로그를 생산해 북미 시장에 수출하고 있다. 지난해 11만7000대를 수출하며 18억달러가량의 수출 실적을 거뒀다. 지난해까지 부과되던 2.5%의 관세가 사라지면 대미 로그 수출은 1대당 약 400달러의 관세 절감 효과를 얻게 된다.

르노삼성차는 관세 철폐 이후 미국 세관이 대미 수출 완성차의 원산지 관리를 위해 적용 예정인 부가가치기준의 순원가법에 대응하기 위해 2011년부터 원산지 관리 IT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지난해에는 민·관 합동 자동차산업 FTA 연구회를 발족하는 등 노력을 기울여 왔다. 협력업체의 수출 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세관 당국과 함께 '예스(YES) FTA 아카데미'를 실시하는 등 협력업체의 원산지 관리 등급 향상도 주도해왔다.

이밖에 정부가 도입한 한·중·일 글로벌 순회 집하 물류체계인 '밀크런'(Milk Run) 방식을 통해 협력업체의 수출 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밀크런은 한·일 양국의 번호판이 부착된 트레일러로 양국 국도를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해 조달 기간과 재고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르노삼성차는 밀크런 방식을 통해 협력회사가 강화된 원가 경쟁력으로 닛산 규슈공장에 수출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실제 34개 부품 협력업체의 밀크런 방식을 통한 수출실적은 2012년 390억원에서 지난해 1822억원으로 불어났다.

노재웅기자 ripbird@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