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소폭 감소했다.
3일 한국은행(이하 한은)에 따르면 5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3709억달러로, 전달 말(3724억8000만달러)보다 15억8000만달러 줄었다. 이는 글로벌 미 달러화가 최근 강세를 보이면서 유로화·엔화 등 기타 통화표시 외화자산의 미 달러화 환산액이 감소한 영향을 주로 받았다.
주요 자산별로 예치금이 263억7000만달러로 한 달 새 41억9000만달러 늘었고,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인 SDR은 1억5000만달러 늘어 총 25억5000만달러로 집계됐다.
반대로 유가증권은 전달보다 59억1000만달러 급감해 총 3353억5000만달러에 머물렀다. IMF에서 교환성 통화를 찾을 수 있는 권리인 IMF 포지션은 18억2000만달러로 전달보다 1000만달러 줄었다.
한은의 금 보유액은 47억9000만달러로 전달과 같았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올 3월 말(3698억달러) 기준 세계 7위 수준이다. 중국은 3조2197억달러로 전달보다 71억달러 늘어 1위 자리를 지켰다. 2위는 일본(1조2625억달러), 3위는 스위스(6608억달러) 순이다.
문혜원기자 hmoon3@dt.co.kr
3일 한국은행(이하 한은)에 따르면 5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3709억달러로, 전달 말(3724억8000만달러)보다 15억8000만달러 줄었다. 이는 글로벌 미 달러화가 최근 강세를 보이면서 유로화·엔화 등 기타 통화표시 외화자산의 미 달러화 환산액이 감소한 영향을 주로 받았다.
주요 자산별로 예치금이 263억7000만달러로 한 달 새 41억9000만달러 늘었고,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인 SDR은 1억5000만달러 늘어 총 25억5000만달러로 집계됐다.
반대로 유가증권은 전달보다 59억1000만달러 급감해 총 3353억5000만달러에 머물렀다. IMF에서 교환성 통화를 찾을 수 있는 권리인 IMF 포지션은 18억2000만달러로 전달보다 1000만달러 줄었다.
한은의 금 보유액은 47억9000만달러로 전달과 같았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올 3월 말(3698억달러) 기준 세계 7위 수준이다. 중국은 3조2197억달러로 전달보다 71억달러 늘어 1위 자리를 지켰다. 2위는 일본(1조2625억달러), 3위는 스위스(6608억달러) 순이다.
문혜원기자 hmoon3@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